안저 사진: 두 판 사이의 차이

26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3월 13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안저 사진 (fundus photo) 은 안저 카메라로 천연색 안저 사진을 찍는 방법이며, 입체 사진을 찍으면 안저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대개...)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안저 사진 (fundus photo) 은 안저 카메라로 천연색 안저 사진을 찍는 방법이며, 입체 사진을 찍으면 안저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대개 30~60도로 안저를 촬영하므로 안저 전반을 보려면 여러 장을 찍어 모자이크로 합성해야 하지만, 근래에 다양하게 선보이는 광각 안저 카메라는 한 장으로 안저 전반을 볼 수 있다.
'''안저 사진 (fundus photo)'''{{망막}} 은 안저 카메라로 천연색 안저 사진을 찍는 방법이며, 입체 사진을 찍으면 안저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대개 30~60˚로 안저를 촬영하므로 안저 전반을 보려면 여러 장을 찍어 모자이크로 합성해야 하지만, 근래에 다양하게 선보이는 광각 안저 카메라는 한 장으로 안저 전반을 볼 수 있다.
== 효과 ==
== 효과 ==
FA 판독에 꼭 필요하고, 녹내장 환자에서 시신경 유두와 망막 신경층의 변화를 관찰하는 데도 쓰인다. 또 눈속 종양이나 맥락막 신생혈관막처럼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추적해야 하는 경우에도 필수적이다.
FA 판독에 꼭 필요하고, 녹내장 환자에서 시신경 유두와 망막 신경층의 변화를 관찰하는 데도 쓰인다. 또 눈속 종양이나 맥락막 신생혈관막처럼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추적해야 하는 경우에도 필수적이다.
== 장점 ==
== 장점 ==
확대경이나 환등기로 확대하여 세밀히 관찰할 수도 있고, 사진으로 보존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찍어서 경과를 상세히 추적 관찰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확대경이나 환등기로 확대하여 세밀히 관찰할 수도 있고, 사진으로 보존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찍어서 경과를 상세히 추적 관찰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 단점 ==
주변부 상이 왜곡되는 단점이 있고 눈꺼풀이 주변부를 가리는 경우도 있어서 사진에서 병변이 의심되는 부위가 발견되면 접촉식 렌즈를 이용해서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