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인도시아닌 그린 (indocyanine green; ICG) == 광학적 특징 == ICG 색소는 혈중에서 <span style='color:blue;'>근적외선 파장</span>의 광선에 자극 받으면...)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도시아닌 그린 (indocyanine green; ICG) | '''인도시아닌 그린 (indocyanine green; ICG)'''{{망막}} | ||
== 광학적 특징 == | == 광학적 특징 == | ||
ICG 색소는 혈중에서 <span style='color:blue;'>근적외선 파장</span>의 광선에 자극 받으면 더 긴 파장의 형광을 발산한다. 특징적으로 ICG 색소의 적외선 영역의 긴 파장 형광은 플루레신의 가시광선 영역의 짧은 파장 형광이 통과하지 못하는 정상 황반 색소, 망막 색소상피층, 출혈, 장액 삼출물 등을 투과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안저 카메라 또는 [[동초점 주사 레이저 검안경]]으로 맥락막 순환계를 조영할 수 있다. | ICG 색소는 혈중에서 <span style='color:blue;'>근적외선 파장</span>의 광선에 자극 받으면 더 긴 파장의 형광을 발산한다. 특징적으로 ICG 색소의 적외선 영역의 긴 파장 형광은 플루레신의 가시광선 영역의 짧은 파장 형광이 통과하지 못하는 정상 황반 색소, 망막 색소상피층, 출혈, 장액 삼출물 등을 투과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안저 카메라 또는 [[동초점 주사 레이저 검안경]]으로 맥락막 순환계를 조영할 수 있다.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부작용 및 합병증 == | == 부작용 및 합병증 == | ||
[[플루레신]] 색소에 비해 독성이 적고, 부작용이 적어 비교적 안전하다. 주사 시 오심, 구토, 소양감 등의 비교적 가벼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지만, 드물게 과민성 쇼크가 생길 수는 있다. 역시 부작용에 대비한 적절한 응급 장비를 항상 준비한다. | [[플루레신]] 색소에 비해 독성이 적고, 부작용이 적어 비교적 안전하다. 주사 시 오심, 구토, 소양감 등의 비교적 가벼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지만, 드물게 과민성 쇼크가 생길 수는 있다. 역시 부작용에 대비한 적절한 응급 장비를 항상 준비한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