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시아닌 그린 혈관조영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62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3월 14일 (목)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cSLO는 청색과 적외선 파장의 레이저 광선을 함께 조사하여 FA와 ICGA의 동시 수행도 가능하다. 적외선 광선과 같이 긴 파장 광선은 산란이 적어 매체 혼탁이 있는 눈을 잘 조영하고, 피검자의 눈부심이 훨씬 덜하다. ICG 색소는 플루레신과 달리 피부나 소변을 노랗게 물들이지 않는다.
cSLO는 청색과 적외선 파장의 레이저 광선을 함께 조사하여 FA와 ICGA의 동시 수행도 가능하다. 적외선 광선과 같이 긴 파장 광선은 산란이 적어 매체 혼탁이 있는 눈을 잘 조영하고, 피검자의 눈부심이 훨씬 덜하다. ICG 색소는 플루레신과 달리 피부나 소변을 노랗게 물들이지 않는다.
== 정상 소견 ==
ICGA의 시기는 FA에 비해 확실한구분이 어렵지만, 주사 후 형광이 나타나는 시기와 순서에 따라 초기, 초중기, 중기, 후기로 나눌 수 있다.
=== 초기 ===
주사 첫 60초 정도를 초기 충만기로 구분한다. 아주 짧은 시간에 맥락막 뒤쪽의 맥락막 동맥, 중간의 맥락막 정맥 그리고 앞의 맥락막 모세혈관의 순서로 충만된다. 보통 주사 후 10초 정도 지나면 맥락막 동맥들이 조영되기 시작하여 망막 동맥에 1~2초 앞서 나타나고, 중심와 주위에서 시작되어 방사상으로 주변부로 향하는 양상을 보인다. 맥락막 정맥들은 대부분 맥락막 동맥들의 충만 수초 후 나타나며 망막 정맥의 결 흐름이 같이 보이기도 한다. 맥락막 동맥은 가늘고 형광이 약하며 구불거리고 휘어진 모양이고, 맥락막 정맥은 더 굵고 형광이 짙으며 곧게 주행하는 모양이다. 맥락막 모세혈관들은 큰 혈관들 사이에 희미한 배경으로 보이며 소엽이 따로 구별되지 않는다. 여러 형태의 분수계역이 보이지만 FA에 비해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 초중기 ===
주사 후 1~3분 정도까지를 초중기로 구분한다. 맥락막 정맥들이 대부분 충만되어 뚜렷해지며 황반에서 주변부로 평행하게 주행하고 또아리 정맥으로 향한다. 동맥과 정맥은 더 이상 구별이 어려워진다. 즉 초기에 맥락막 동맥이 충만되고 10초 정도 지나면 형광이 거의 빠져나가면서 맥락막 정맥과 망막 혈관들만 남게 된다. 이후 3~5분 동안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 중기 ===
주사 후 3~15분까지를 중기로 구분한다. 맥락막 정맥도 점차 열어지고 윤곽도 흐려 개별 혈관의 구별이 어려워진다. 이 시기부터 안저의 배경 형광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즉 맥락막 전체에 약하고 균일하고 희뿌연 형광이 배경을 이루기 시작한다.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점차 누출, 확산된 ICG 색소가 맥락막 간질조직과 RPE층 등을 염색하기 때문이며, FA의 초기부터 빠른 속도로 나타나
는 [[플루레신]]의 배경 형광과 비교된다.
=== 후기 ===
주사 후 15~30분까지를 후기로 구분한다. ICG는 혈중 단백과 결합으로 재순환이 없어 대부분 배출되면서 맥락막 혈관과 시신경은 어두워지고 나중에는 큰 맥락막 혈관들만 희미하게 저형광으로 보인다. 배경 형광도 시간이 갈수록 더욱 엷어진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