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막하 출혈: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998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3월 25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예후)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결막하 출혈 (subconjuntival hemorrhage; SCH)'''{{각막}}<ref>Doshi R et al. Subconjunctival Hemorrhage. 2023 Feb 20.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https://pubmed.ncbi.nlm.nih.gov/31869130/ 연결]</ref>
'''결막하 출혈 (subconjuntival hemorrhage; SCH)'''{{각막}}<ref>Doshi R et al. Subconjunctival Hemorrhage. 2023 Feb 20.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https://pubmed.ncbi.nlm.nih.gov/31869130/ 연결]</ref>
== 원인 ==
=== 외상 ===
외상성 SCH의 발생률은 콘택트렌즈 (CL) 사용 증가와 안과 수술을 받는 환자의 수 증가로 인해 이차적으로 증가했다. CL 착용자는 결막염, 결막 결막염, 표재성 점상 각막염에 걸릴 확률이 더 높다. 이러한 결막 질환은 렌즈와 결막 자체의 건조함과 마찰로 인해 염증을 증가시키고 눈물 흐름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HCL의 재질 결함 및 표면 침전물, 일회용 콘택트렌즈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테두리 결함도 SCH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ref>Mimura T et al. CL-induced SCH. ''AJO''. 2010 Nov;150(5):656-665.e1. [https://pubmed.ncbi.nlm.nih.gov/20709310/ 연결]</ref><ref>Liu W et al. The tear film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SCH patients detected by Schirmer test I and tear interferometry. ''Mol Vis''. 2012;18:1952-4. Epub 2012 Jul 18. [https://pubmed.ncbi.nlm.nih.gov/22876120/ 연결]</ref>.
특히 항응고제를 복용 중인 환자의 안구 수술은 SCH의 위험을 높인다. 백내장 수술, 굴절 수술, 테논하 주사와 같은 국소 마취는 SCH를 강화할 수 있다.
눈을 비비거나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와 같은 국소적인 경미한 외상도 SCH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환자는 경미한 외상을 기억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외상이 있는 경우, SCH는 안구 개방과 같은 더 치명적인 부상의 범위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SCH는 안와 골절 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저 두개골 골절은 안와 외상이 없을 때 포닉스에서 SCH가 발생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ref>King AB et al. Trauma to the head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ocular signs; injuries involving the hemispheres and brain stem; miscellaneous conditions; diagnostic principles; treatment. ''AJO''. 1949 Mar;32(3):379-98. [https://pubmed.ncbi.nlm.nih.gov/18112994/ 연결]</ref>.
=== 자연 발생 ===
== 평가 ==
== 평가 ==
초기 평가 및 진단은 임상적이며 보이는 것 그 자체이다. 그러나 결막하 출혈을 일으킬 수 있는 안구 외상이나 다른 기저 국소 안과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플루레신]]을 사용한 세극등 검사가 중요하다. 결막하 출혈이 있는 모든 환자는 정기적으로 혈압을 확인해야 하고, 와파린을 복용 중인 경우 INR을 검사해야 한다.{{br}}결막하 출혈이 지속되거나 재발하는 경우 출혈성 질환과 항응고 상태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어야 한다. 안저 검사는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초기 평가 및 진단은 임상적이며 보이는 것 그 자체이다. 그러나 결막하 출혈을 일으킬 수 있는 안구 외상이나 다른 기저 국소 안과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플루레신]]을 사용한 세극등 검사가 중요하다. 결막하 출혈이 있는 모든 환자는 정기적으로 혈압을 확인해야 하고, 와파린을 복용 중인 경우 INR을 검사해야 한다.{{br}}결막하 출혈이 지속되거나 재발하는 경우 출혈성 질환과 항응고 상태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어야 한다. 안저 검사는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