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 차단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8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7일 (목)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심혈관계 질환에 '''베타 차단제 (beta blocker; BB)'''{{녹내장}} 를 사용한 이후 점안용 베타 차단제가 안압 하강을 목적으로 녹내장 치료제로 개발되었다. 처음으로 상용한 베타 차단제는 프로프라노롤 (propranolol) 로서 심부정맥, 협심증, 고혈압의 치료제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안압 하강 효과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는 각막 마취, 안구 건조, 결막하 반흔, 각막 궤양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이었으나 이러한 부작용을 줄인 여러 베타 차단제들이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심혈관계 질환에 '''베타 차단제 (beta blocker; BB)'''{{녹내장}} 를 사용한 이후 점안용 베타 차단제가 안압 하강을 목적으로 녹내장 치료제로 개발되었다. 처음으로 상용한 베타 차단제는 프로프라노롤 (propranolol) 로서 심부정맥, 협심증, 고혈압의 치료제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안압 하강 효과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는 각막 마취, 안구 건조, 결막하 반흔, 각막 궤양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이었으나 이러한 부작용을 줄인 여러 베타 차단제들이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 작용 기전 ==
== 작용 기전 ==
방수 생성을 억제하여 안압을 낮춘다<ref>Coakes RL et al. The mechanism of timolol in lowering IOP. In the normal eye. ''Arch Ophthalmol''. 1978 Nov;96(11):2045-8. [https://pubmed.ncbi.nlm.nih.gov/363105/ 연결]</ref>. 베타 수용체 중 β<sub>2</sub> 아형이 섬모체 돌기에  주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 졌으며 timolol은 catecholamine에 의한 고리형 아데노신 1인산 (cyclic adenosine monophsphate)의 합성을 억제하여 방수 생성을 감소시킨다<ref>Nathanson JA. Human ciliary process adrenergic receptor : pharmacological characterization. ''IOVS''. 1981 Dec;21(6):798-804. [https://pubmed.ncbi.nlm.nih.gov/6118346/ 연결]</ref><ref>Nathanson JA. Adrenergic regulation of IOP : identification of β2-adrenergic-stimulated adenylate cyclase in ciliary process epithelium. ''Proc Natl Acad Sci U S A''. 1980 Dec;77(12):7420-4. [https://pubmed.ncbi.nlm.nih.gov/6261257/ 연결]</ref>.
방수 생성을 억제하여 안압을 낮춘다<ref>Coakes RL et al. The mechanism of timolol in lowering IOP. In the normal eye. ''Arch Ophthalmol''. 1978 Nov;96(11):2045-8. [https://pubmed.ncbi.nlm.nih.gov/363105/ 연결]</ref>. 베타 수용체 중 β<sub>2</sub> 아형이 섬모체 돌기에  주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 졌으며 [[티몰롤]]은 카테콜아민에 의한 고리형 아데노신 1인산 (cyclic adenosine monophsphate)의 합성을 억제하여 방수 생성을 감소시킨다<ref>Nathanson JA. Human ciliary process adrenergic receptor : pharmacological characterization. ''IOVS''. 1981 Dec;21(6):798-804. [https://pubmed.ncbi.nlm.nih.gov/6118346/ 연결]</ref><ref>Nathanson JA. Adrenergic regulation of IOP : identification of β2-adrenergic-stimulated adenylate cyclase in ciliary process epithelium. ''Proc Natl Acad Sci U S A''. 1980 Dec;77(12):7420-4. [https://pubmed.ncbi.nlm.nih.gov/6261257/ 연결]</ref>.


== 안혈류에 미치는 영향 ==
== 안혈류에 미치는 영향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