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 차단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7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7일 (목)
잔글
4번째 줄: 4번째 줄:


== 안혈류에 미치는 영향 ==
== 안혈류에 미치는 영향 ==
[[카테올롤]]과 [[레보부놀롤]]이 박동성 안혈류를 증가시켰다는 보고가 있으나 다른 연구에서는 [[카테올롤]]이 망막 혈액 순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 [[정상 안압 녹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베탁솔롤]]이 확장말기의 혈류 속도를 증가시키고 저항 계수를 감소시켰다고 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티몰롤]]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토끼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두 약제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베타 차단제가 안혈류에 미치는 영향과 비선택성 및 선택성 베타 차단제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는 아직 불명확하다. [[티몰롤]]은 [[혈액-방수 장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BB가 안혈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는 매우 다양하다. [[카테올롤]]과 [[레보부놀롤]]이 박동성 안혈류를 증가시켰다는 보고가 있으나<ref>Bosem ME et al. Short-term effects of levobunolol on ocular pulsatile flow. ''AJO''. 1992 Sep 15;114(3):280-6. [https://pubmed.ncbi.nlm.nih.gov/1524115/ 연결]</ref> 다른 연구에서는 [[카테올롤]]이 망막 혈액 순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ref>Grunwald JE et al. Effect of topical carteolol on the normal human retinal circulation. ''IOVS''. 1992 May;33(6):1853-6. [https://pubmed.ncbi.nlm.nih.gov/1582788/ 연결]</ref>. [[정상 안압 녹내장]] (NTG)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베탁솔롤]]이 확장말기의 혈류 속도를 증가시키고 저항 계수를 감소시켰다고 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티몰롤]]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고 한다<ref>Harris A et al. Retrobulbar arterial hemodynamic effects of betaxolol and timolol in NTG. ''AJO''. 1995 Aug;120(2):168-75. [https://pubmed.ncbi.nlm.nih.gov/7639300/ 연결]</ref>. 그러나 토끼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두 약제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ref>Orgül S et al. Optic nerve vasomotor effects of topical β-adrenergic antagonists in rabbits. ''AJO''. 1995 Oct;120(4):441-7. [https://pubmed.ncbi.nlm.nih.gov/7573301/ 연결]</ref>. 따라서 임상적으로 BB가 안혈류에 미치는 영향과 비선택성 및 선택성 BB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는 아직 불명확하다. [[티몰롤]]은 [[혈액-방수 장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분류 ==
== 분류 ==
* [[티몰롤]] (timolol)
* [[티몰롤]] (timolol)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