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 차단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36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7일 (목)
잔글
2번째 줄: 2번째 줄:
== 작용 기전 ==
== 작용 기전 ==
방수 생성을 억제하여 안압을 낮춘다<ref>Coakes RL et al. The mechanism of timolol in lowering IOP. In the normal eye. ''Arch Ophthalmol''. 1978 Nov;96(11):2045-8. [https://pubmed.ncbi.nlm.nih.gov/363105/ 연결]</ref>. 베타 수용체 중 β<sub>2</sub> 아형이 섬모체 돌기에  주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 졌으며 [[티몰롤]]은 카테콜아민에 의한 고리형 아데노신 1인산 (cyclic adenosine monophsphate)의 합성을 억제하여 방수 생성을 감소시킨다<ref>Nathanson JA. Human ciliary process adrenergic receptor : pharmacological characterization. ''IOVS''. 1981 Dec;21(6):798-804. [https://pubmed.ncbi.nlm.nih.gov/6118346/ 연결]</ref><ref>Nathanson JA. Adrenergic regulation of IOP : identification of β2-adrenergic-stimulated adenylate cyclase in ciliary process epithelium. ''Proc Natl Acad Sci U S A''. 1980 Dec;77(12):7420-4. [https://pubmed.ncbi.nlm.nih.gov/6261257/ 연결]</ref>.
방수 생성을 억제하여 안압을 낮춘다<ref>Coakes RL et al. The mechanism of timolol in lowering IOP. In the normal eye. ''Arch Ophthalmol''. 1978 Nov;96(11):2045-8. [https://pubmed.ncbi.nlm.nih.gov/363105/ 연결]</ref>. 베타 수용체 중 β<sub>2</sub> 아형이 섬모체 돌기에  주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 졌으며 [[티몰롤]]은 카테콜아민에 의한 고리형 아데노신 1인산 (cyclic adenosine monophsphate)의 합성을 억제하여 방수 생성을 감소시킨다<ref>Nathanson JA. Human ciliary process adrenergic receptor : pharmacological characterization. ''IOVS''. 1981 Dec;21(6):798-804. [https://pubmed.ncbi.nlm.nih.gov/6118346/ 연결]</ref><ref>Nathanson JA. Adrenergic regulation of IOP : identification of β2-adrenergic-stimulated adenylate cyclase in ciliary process epithelium. ''Proc Natl Acad Sci U S A''. 1980 Dec;77(12):7420-4. [https://pubmed.ncbi.nlm.nih.gov/6261257/ 연결]</ref>.
교감 길항제가 방수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은 [[섬모체 돌기]]의 교감신경계와 관련이 있다. 교감신경의 절단이 방수 생성이나 안압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며 양측 부신을 제거한 경우 방수 생성의 일주성 리듬이나 [[티몰롤]]의 주간 안압 하강 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f>Maus TL et al. Aqueous flow in humans after adrenalectomy. ''IOVS''. 1994 Jul;35(8):3325-31. [https://pubmed.ncbi.nlm.nih.gov/8045722/ 연결]</ref>. 순환성 카테콜아민 (circulating catecholamine) 이 섬모체 돌기에서의 방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는 생각되는데, 야간에는 생리적으로 카테콜아민이 감소되어 정상적으로 방수 생성이 주간에 비해 절반 이하로 감소한다. 따라서 야간에는 [[티몰롤]]에 의해 억제될 수 있는 카테콜아민의 수치가 낮아져서 야간에 수면 중인 환자에서는 안압 하강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ref>Topper JE et al. Effects of timolol, epinephrine, and acetazolamide on aqueous flow during sleep. ''IOVS''. 1985 Oct;26(10):1315-9. [https://pubmed.ncbi.nlm.nih.gov/4044159/ 연결]</ref>. 그러나 에피네프린을 사용중인 환자에서는 [[티몰롤]]은 야간에도 안압을 감소시킨다<ref>Rettig ES et al. The effect of topical timolol on epinephrine-stimulated aqueous humor flow in sleeping humans. ''IOVS''. 1994 Feb;35(2):554-9. [https://pubmed.ncbi.nlm.nih.gov/8113006/ 연결]</ref>. 따라서 교감신경계에 의해 방수 생성이 조절되는 기전은 매우 복잡하며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다. [[티몰롤]]은 방수 유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약간의 근시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아 교감신경계가 섬모체근의 안정시 근긴장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ref>Gilmartin B et al. The effect of Timolol Maleate on tonic accommodation, tonic vergence, and pupil diameter. ''IOVS''. 1984 Jun;25(6):763-70. [https://pubmed.ncbi.nlm.nih.gov/6724847/ 연결]</ref>, β2 아형 수용체는 섬유주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ref>Wax MB et al. Characterization of β-adrenergic receptors in cultured human trabecular cells and in human TM. ''IOVS''. 1989 Jan;30(1):51-7. [https://pubmed.ncbi.nlm.nih.gov/2536360/ 연결]</ref>.


== 안혈류에 미치는 영향 ==
== 안혈류에 미치는 영향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