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 차단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94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2일 (화)
잔글
37번째 줄: 37번째 줄:
* 반흔 유천포창 :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는 BB가 직접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자극하기 보다는 약제나 보존제의 자극에 의한 만성 염증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ref>Williams DE et al. Effects of timolol, betaxolol, and levobunolol on human tenon's fibroblasts in tissue culture. ''IOVS''. 1992 Jun;33(7):2233-41. [https://pubmed.ncbi.nlm.nih.gov/1607234/ 연결]</ref>.
* 반흔 유천포창 :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는 BB가 직접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자극하기 보다는 약제나 보존제의 자극에 의한 만성 염증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ref>Williams DE et al. Effects of timolol, betaxolol, and levobunolol on human tenon's fibroblasts in tissue culture. ''IOVS''. 1992 Jun;33(7):2233-41. [https://pubmed.ncbi.nlm.nih.gov/1607234/ 연결]</ref>.
* 결막이 녹내장 치료 약제나 보존제에 노출되면 조직의 형태가 변하고 염증 세포가 증가하게 되어 녹내장 여과 수술의 성공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 결막이 녹내장 치료 약제나 보존제에 노출되면 조직의 형태가 변하고 염증 세포가 증가하게 되어 녹내장 여과 수술의 성공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 안혈류에 영향을 미쳐 시신경유두의 관류압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제시되어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으나 아직 자세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았다.
* 안혈류에 영향을 미쳐 시신경유두의 관류압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제시되어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으나 아직 자세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았다<ref>Harris A et al. The impact of glaucoma medication on parameters of ocular perfusion. ''Curr Opin Ophthalmol''. 2001 Apr;12(2):131-7. [https://pubmed.ncbi.nlm.nih.gov/11224720/ 연결]</ref>.


=== 전신 부작용 ===
=== 전신 부작용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