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 차단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12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2일 (화)
잔글
42번째 줄: 42번째 줄:
점안용 BB에 의한 전신 부작용은 눈에서 나타나는 부작용보다 더 흔하고 심각한 양상을 나타내며,서맥이나 2˚ 또는 3˚ 방실 차단, 활동성 기관지 수축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점안용 BB에 의한 전신 부작용은 눈에서 나타나는 부작용보다 더 흔하고 심각한 양상을 나타내며,서맥이나 2˚ 또는 3˚ 방실 차단, 활동성 기관지 수축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 전신 흡수 : 점안 수분 내에 혈액에서 [[티몰롤]]이 측정되며 눈물낭을 압박함으로써 티몰롤의 전신 홉수를 줄일 수 있다. [[베탁솔롤]]은 [[티몰롤]]에 비해 방수에서의 농도는 높으나 혈장에서의 농도는 낮게 나타난다. 혈장내에 높은 농도로 흡수된 비선택적 BB는 β<sub>1</sub>, β<sub>2</sub> 수용체와 결합하지만 [[베탁솔롤]]은 거의 결합하지 않는다. 이렇게 베탁솔롤의 전신적 확산이 적게 일어나는 이유는 높은 지질 친화성과 단백 결합성으로 전신 홉수가 되기 전에 국소적으로 확산되어 눈물샘에 있는 단백과 결합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ref>Le Jeunne C et al. Systemic effects of 3 BB eyedrops : comparison in healthy volunteers of β1- and β1-adrenoreceptor inhibition. ''Clin Pharmacol Ther''. 1990 May;47(5):578-83. [https://pubmed.ncbi.nlm.nih.gov/1971539/ 연결]</ref>. 따라서 [[베탁솔롤]]은 [[티몰롤]]에 비해 안압 하강 효과는 적게 나타나지만 β<sub>1</sub> 선택성으로 인해 폐기능의 장애를 적게 유발하며 전신 홉수도 적게 되므로 심혈관계 부작용도 적게 나타난다.
* 전신 흡수 : 점안 수분 내에 혈액에서 [[티몰롤]]이 측정되며 눈물낭을 압박함으로써 티몰롤의 전신 홉수를 줄일 수 있다. [[베탁솔롤]]은 [[티몰롤]]에 비해 방수에서의 농도는 높으나 혈장에서의 농도는 낮게 나타난다. 혈장내에 높은 농도로 흡수된 비선택적 BB는 β<sub>1</sub>, β<sub>2</sub> 수용체와 결합하지만 [[베탁솔롤]]은 거의 결합하지 않는다. 이렇게 베탁솔롤의 전신적 확산이 적게 일어나는 이유는 높은 지질 친화성과 단백 결합성으로 전신 홉수가 되기 전에 국소적으로 확산되어 눈물샘에 있는 단백과 결합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ref>Le Jeunne C et al. Systemic effects of 3 BB eyedrops : comparison in healthy volunteers of β1- and β1-adrenoreceptor inhibition. ''Clin Pharmacol Ther''. 1990 May;47(5):578-83. [https://pubmed.ncbi.nlm.nih.gov/1971539/ 연결]</ref>. 따라서 [[베탁솔롤]]은 [[티몰롤]]에 비해 안압 하강 효과는 적게 나타나지만 β<sub>1</sub> 선택성으로 인해 폐기능의 장애를 적게 유발하며 전신 홉수도 적게 되므로 심혈관계 부작용도 적게 나타난다.
* 심혈관계 : β<sub>1</sub> 수용체를 차단하면 심박동수가 감소하고 심근수축이 약해지게 되는데, BB를 사용하면 운동량에 따라 심박동수가 증가하는 운동 유발성 빈맥을 억제하여 운동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티몰롤]]은 심한 서맥, 부정맥, 심부전, 실신을 유발할 수 있으며,[[티몰롤]]에 의한 서맥은 퀴니딘이나 칼슘 길항제인 베라파밀 (verapamil) 을 같이 복용하는 경우 더욱 심해진다<ref>Lama PJ. Systemic adverse effects of β-adrenergic blockers : an evidence-based assessment. ''AJO''. 2002 Nov;134(5):749-60. [https://pubmed.ncbi.nlm.nih.gov/12429254/ 연결]</ref>. 또한 [[티몰롤]]이 혈압을 약간 하강시킨다는 보고들도 있다<ref>Quaranta L et al. Effects of topical hypotensive drugs on circadian IOP, BP, and calculated diastolic OPP in patients w glaucoma. ''IOVS''. 2006 Jul;47(7):2917-23. [https://pubmed.ncbi.nlm.nih.gov/16799034/ 연결]</ref>. [[베탁솔롤]]도 유사한 심혈관계 부작용을 유발한다. 따라서 BB를 사용하기 전에 정확한 병력을 알아보고 심혈관계의 이상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는 다른 계열의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심혈관계 : β<sub>1</sub> 수용체를 차단하면 심박동수가 감소하고 심근수축이 약해지게 되는데, BB를 사용하면 운동량에 따라 심박동수가 증가하는 운동 유발성 빈맥을 억제하여 운동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티몰롤]]은 심한 서맥, 부정맥, 심부전, 실신을 유발할 수 있으며,[[티몰롤]]에 의한 서맥은 퀴니딘이나 칼슘 길항제인 베라파밀 (verapamil) 을 같이 복용하는 경우 더욱 심해진다<ref>Lama PJ. Systemic adverse effects of β-adrenergic blockers : an evidence-based assessment. ''AJO''. 2002 Nov;134(5):749-60. [https://pubmed.ncbi.nlm.nih.gov/12429254/ 연결]</ref>. 또한 [[티몰롤]]이 혈압을 약간 하강시킨다는 보고들도 있다<ref>Quaranta L et al. Effects of topical hypotensive drugs on circadian IOP, BP, and calculated diastolic OPP in patients w glaucoma. ''IOVS''. 2006 Jul;47(7):2917-23. [https://pubmed.ncbi.nlm.nih.gov/16799034/ 연결]</ref><ref>Costagliola C et al. Circadian changes of IOP and OPP after timolol or latanoprost in Caucasians w NTG.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8 Mar;246(3):389-96. [https://pubmed.ncbi.nlm.nih.gov/18004586/ 연결]</ref>. [[베탁솔롤]]도 유사한 심혈관계 부작용을 유발한다. 따라서 BB를 사용하기 전에 정확한 병력을 알아보고 심혈관계의 이상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는 다른 계열의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호흡기계 : β<sub>2</sub> 수용체를 차단하면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을 유발하여 기관지 경련이나 기도 폐쇄가 일어날 수 있는데 특히 천식이 있는 환자에서 잘 나타난다. 비록 timolol에 비해 betaxolol이 적게 유발하기는 하지만 나타나지 않는 것은 아니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어린이에게서는 호흡 곤란이나 무호흡 발작이 일어날 수 있으며, 모유에서도 고용량의 timolol이 검출된다.
* 호흡기계 : β<sub>2</sub> 수용체를 차단하면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을 유발하여 기관지 경련이나 기도 폐쇄가 일어날 수 있는데 특히 천식이 있는 환자에서 잘 나타난다<ref>Avorn J et al. Adverse pulmonary effects of topical BB used in the treatment of glaucoma. ''J Glaucoma''. 1993 Fall;2(3):158-65. [https://pubmed.ncbi.nlm.nih.gov/19920512/ 연결]</ref>. 비록 [[티몰롤]]에 비해 [[베탁솔롤]]이 적게 유발하기는 하지만 나타나지 않는 것은 아니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어린이에게서는 호흡 곤란이나 무호흡 발작이 일어날 수 있으며, 모유에서도 고용량의 [[티몰롤]]이 검출된다<ref>Lustgarten JS et al. Topical timolol and the nursing mother. ''Arch Ophthalmol''. 1983 Sep;101(9):1381-2. [https://pubmed.ncbi.nlm.nih.gov/6615302/ 연결]</ref>.
* 중추신경계 : 우울, 불안, 졸림 등의 부작용이 timolol과 betaxolol의 사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
* 중추신경계 : 우울, 불안, 졸림 등의 부작용이 [[티몰롤]]과 [[베탁솔롤]]의 사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
* 콜레스테롤 : 경구용 베타 차단제는 혈장 지질의 변화를 유발한다. timolol을 사용한 경우 고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이 감소되어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 콜레스테롤 : 경구용 BB는 혈장 지질의 변화를 유발한다. [[티몰롤]]을 사용한 경우 고밀도 지단백 (HDL) 콜레스테롤이 감소되어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ref>Coleman AL et al. Topical timolol decreases plasma HDL cholesterol level. ''Arch Ophthalmol''. 1990 Sep;108(9):1260-3. [https://pubmed.ncbi.nlm.nih.gov/2400346/ 연결]</ref>.
* 기타 : 소화기 질환이나 피부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중증 근무력증을 악화시킬 수 있고 당뇨 환자에서 저혈당에 의한 반응을 변화시켜 발작 증상의 발견이 지연되는 경우도 있다.
* 기타 : 소화기 질환이나 피부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중증 근무력증을 악화시킬 수 있고<ref>Shaivitz SA. Timolol and MG. ''JAMA''. 1979 Oct 12;242(15):1611-2. [https://pubmed.ncbi.nlm.nih.gov/39182/ 연결]</ref> 당뇨 환자에서 저혈당에 의한 반응을 변화시켜 발작 증상의 발견이 지연되는 경우도 있다<ref>Velde TM et al. Ophthalmic timolol treatment causing altered hypoglycemic response in a diabetic patient. ''Arch Intern Med''. 1983 Aug;143(8):1627. [https://pubmed.ncbi.nlm.nih.gov/6870450/ 연결]</ref>.


== 임산부에서의 사용 ==
== 임산부에서의 사용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