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4년 7월 4일 (목)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분류)
4번째 줄: 4번째 줄:
== 분류 ==
== 분류 ==
포도막염 표준 명명법 전문위원회에서는 포도막염의 발병, 기간, 경과에 근거해 분류했다.
포도막염 표준 명명법 전문위원회에서는 포도막염의 발병, 기간, 경과에 근거해 분류했다.
* 급성 : 급격한 발병으로, 증상 발현 기간이 3개월 미만이다..
* 급성 : 급격한 발병으로, 증상 발현 기간이 3개월 미만이다.
* 재발성 : 3개월 이상 모든 치료를 중단한 기간 중에 포도막염이 반복적으로 발현된 경우를 말한다.
* 재발성 : 3개월 이상 모든 치료를 중단한 기간 중에 포도막염이 반복적으로 발현된 경우를 말한다.
* 만성 : 치료를 중단한 동안 3개월 이상 염증이 지속되는 경우이다.
* 만성 : 치료를 중단한 동안 3개월 이상 염증이 지속되는 경우이다.
== 증상 ==
== 증상 ==
* 급성 전부 포도막염 : 특징적으로 통증, 충혈, 눈부심 그리고 때때로 눈물 흘림을 호소하게 되는데, 증상의 정도는 다양하다. 통증은 앞섬모체 신경의 울혈과 자극 증상으로 인해 나타나며, 심하면 섬모체 연축으로 인해 눈부심이 나타나기도 한다. 통증은 흔히 눈에 국한되지만 안와 주위, 전두부 혹은 측두부까지 방사되기도 하고, 폐쇄각 녹내장이 동반될 경우 오심과 구토가 나타날 수도 있다. 전방 염증이 심한 경우에는 섬유소가 형성되거나 낭포 황반부종이 동반되기도 하여 흐려보임을 호소하기도 한다.
* 급성 전부 포도막염 : 특징적으로 통증, 충혈, 눈부심 그리고 때때로 눈물 흘림을 호소하게 되는데, 증상의 정도는 다양하다. 통증은 앞섬모체 신경의 울혈과 자극 증상으로 인해 나타나며, 심하면 섬모체 연축으로 인해 눈부심이 나타나기도 한다. 통증은 흔히 눈에 국한되지만 안와 주위, 전두부 혹은 측두부까지 방사되기도 하고, 폐쇄각 녹내장이 동반될 경우 오심과 구토가 나타날 수도 있다. 전방 염증이 심한 경우에는 섬유소가 형성되거나 낭포 황반부종이 동반되기도 하여 흐려보임을 호소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