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A 바이러스 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56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8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RNA 바이러스 결막염 (ribonucleic acid viral conjunctivitis; RNA viral conjunctivitis)'''
'''RNA 바이러스 결막염 (ribonucleic acid viral conjunctivitis; RNA viral conjunctivitis)'''{{각막}}
== 원인 ==
== 원인 ==
* 피코르나 바이러스 (picornaviruses) : [[급성 출혈 결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엔테로바이러스 70형과 콕사키바이러스 A24형이 있다.
* 피코르나 바이러스 (picornaviruses) : [[급성 출혈 결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엔테로바이러스 70형과 콕사키바이러스 A24형이 있다.
9번째 줄: 9번째 줄:
임상적으로 가능하나, 확진을 위해서는 배양과 PCR을 시행한다.
임상적으로 가능하나, 확진을 위해서는 배양과 PCR을 시행한다.
== 치료 ==
== 치료 ==
특별한 치료 없이도 치유되고, 증상 완화를 위해 냉찜질, 인공 눈물을 사용할 수 없으며, 전염 방지에 신경써야 한다. 점안 스테로이드는 각막 궤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특별한 치료 없이도 치유되고, 증상 완화를 위해 냉찜질, 인공 눈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염 방지에 신경써야 한다. 점안 스테로이드는 각막 궤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ref>Choulakian MY et al. Viral conjunctivitis. In : Mannis MJ, Holland EJ, eds. Cornea, 5th ed. Philadelphia: Elsevier, 2022; v.l. chap. 38</ref>.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