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치료) |
잔글 (→진단)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피부 질환과 장기 질환의 두 가지 전신 질환을 나타낸다. 피부 질환의 하나로 발생하는 각막염은 American (mucocutaneous) leishmaniasis로 불리며 부채꼴 또는 광범위 각막 실질염을 일으킨다. 눈꺼풀의 병변에 의해 각막에 직접적으로 침입하는 경우에는 화농 각막 궤양을 일으키기도 한다. | 피부 질환과 장기 질환의 두 가지 전신 질환을 나타낸다. 피부 질환의 하나로 발생하는 각막염은 American (mucocutaneous) leishmaniasis로 불리며 부채꼴 또는 광범위 각막 실질염을 일으킨다. 눈꺼풀의 병변에 의해 각막에 직접적으로 침입하는 경우에는 화농 각막 궤양을 일으키기도 한다. | ||
== 진단 == | == 진단 == | ||
대부분 조직 찰과, 흡인 검사, 생검 검체의 슬라이드 염색 및 현미경적 | 대부분 조직 찰과, 흡인 검사, 생검 검체의 슬라이드 염색 및 현미경적 검사, 특수 배양 기법 또는 분자 생물학적 검사 등으로부터 기생충의 존재를 입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리슈만 편모충증의 확진에서 영상검사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Montenegro 리슈만 편모충증 피부 반응 검사는 rK39 신속검사와 PCR 등 새로운 혈청학적 검사로 대체되었다. | ||
== 치료 == | == 치료 == | ||
기생충과 숙주 인자에 따라 다르다. 어떤 치료 방침은 특정 리슈만 편모충증에만 반응하거나 특정 부위에서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의 치료에는 아래와 같은 전신 약제를 사용한다. | 기생충과 숙주 인자에 따라 다르다. 어떤 치료 방침은 특정 리슈만 편모충증에만 반응하거나 특정 부위에서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의 치료에는 아래와 같은 전신 약제를 사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