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슈만 편모충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13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22일 (월)
잔글
잔글 (→‎진단)
18번째 줄: 18번째 줄:
* 칼라아자르 후 진피 (post kala-azar dermal) 리슈만 편모중증
* 칼라아자르 후 진피 (post kala-azar dermal) 리슈만 편모중증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피부 질환과 장기 질환의 두 가지 전신 질환을 나타낸다. 피부 질환의 하나로 발생하는 각막염은 American (mucocutaneous) leishmaniasis로 불리며 부채꼴 또는 광범위 각막 실질염을 일으킨다. 눈꺼풀의 병변에 의해 각막에 직접적으로 침입하는 경우에는 화농 각막 궤양을 일으키기도 한다.
임상 양상은 리슈만 편모충의 종에 따라 그리고 환자의 면역반응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수개월에서 수년까지도 지속될 수 있다.
 
질환은 일반적으로 구진으로부터 결절성 플라크를 거쳐 융기된 경계와 중심부 함몰이 있는 궤양성 병변으로 발전하며, 그 위에 딱지나 가피가 덮일 수 있다. 어떤 병변들은 결절 상태로 남게 되며 노란 눈물과 같은 특징적인 혈관성 양상을 보인다. 병변은 주로 얼굴이나 팔과 같은 노출된 부위에 발생하며 수주에서 수개월 정도의 잠복기를 가진다. 국소적인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이라 하더라도 위성 병변, 림프절병증, 결절림프관염 등 하나 이상의 병변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피부 병변이 생기기 전에 림프절병증이 먼저 발견되기도 한다.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에서 눈꺼풀은 흔히 침범되지는 않는데, 이는 눈꺼풀의 지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파리가 눈꺼풀 피부를 물기 어렵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눈꺼풀이 침범된 경우에는 콩다래끼, 눈물주머니염, 종양 등 좀 더 흔한 질환들과 유사해 보이기 때문에 진단하기 어려을 수 있다. 눈꺼풀 병변은 단일 또는 다발성 결절 및 구진 양상을 보이며,궤양을 동반할 수도 있다. 치유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위축성 반흔을 남기게 된다.211-213
 
== 진단 ==
== 진단 ==
대부분 조직 찰과, 흡인 검사, 생검 검체의 슬라이드 염색 및 현미경적 검사, 특수 배양 기법 또는 분자 생물학적 검사 등으로부터 기생충의 존재를 입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리슈만 편모충증의 확진에서 영상검사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Montenegro 리슈만 편모충증 피부 반응 검사는 rK39 신속검사와 PCR 등 새로운 혈청학적 검사로 대체되었다.
대부분 조직 찰과, 흡인 검사, 생검 검체의 슬라이드 염색 및 현미경적 검사, 특수 배양 기법 또는 분자 생물학적 검사 등으로부터 기생충의 존재를 입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리슈만 편모충증의 확진에서 영상검사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Montenegro 리슈만 편모충증 피부 반응 검사는 rK39 신속검사와 PCR 등 새로운 혈청학적 검사로 대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