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학) |
잔글 (→임상 소견)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질환은 일반적으로 구진으로부터 결절성 플라크를 거쳐 융기된 경계와 중심부 함몰이 있는 궤양성 병변으로 발전하며, 그 위에 딱지나 가피가 덮일 수 있다. 어떤 병변들은 결절 상태로 남게 되며 노란 눈물과 같은 특징적인 혈관성 양상을 보인다. 병변은 주로 얼굴이나 팔과 같은 노출된 부위에 발생하며 수주에서 수개월 정도의 잠복기를 가진다. 국소적인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이라 하더라도 위성 병변, 림프절병증, 결절림프관염 등 하나 이상의 병변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피부 병변이 생기기 전에 림프절병증이 먼저 발견되기도 한다. | 질환은 일반적으로 구진으로부터 결절성 플라크를 거쳐 융기된 경계와 중심부 함몰이 있는 궤양성 병변으로 발전하며, 그 위에 딱지나 가피가 덮일 수 있다. 어떤 병변들은 결절 상태로 남게 되며 노란 눈물과 같은 특징적인 혈관성 양상을 보인다. 병변은 주로 얼굴이나 팔과 같은 노출된 부위에 발생하며 수주에서 수개월 정도의 잠복기를 가진다. 국소적인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이라 하더라도 위성 병변, 림프절병증, 결절림프관염 등 하나 이상의 병변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피부 병변이 생기기 전에 림프절병증이 먼저 발견되기도 한다. | ||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에서 눈꺼풀은 흔히 침범되지는 않는데, 이는 눈꺼풀의 지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파리가 눈꺼풀 피부를 물기 어렵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눈꺼풀이 침범된 경우에는 콩다래끼, 눈물주머니염, 종양 등 좀 더 흔한 질환들과 유사해 보이기 때문에 진단하기 어려을 수 있다. 눈꺼풀 병변은 단일 또는 다발성 결절 및 구진 양상을 | 피부 리슈만 편모충증에서 눈꺼풀은 흔히 침범되지는 않는데, 이는 눈꺼풀의 지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파리가 눈꺼풀 피부를 물기 어렵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눈꺼풀이 침범된 경우에는 콩다래끼, 눈물주머니염, 종양 등 좀 더 흔한 질환들과 유사해 보이기 때문에 진단하기 어려을 수 있다. 눈꺼풀 병변은 단일 또는 다발성 결절 및 구진 양상을 보이며<ref>Raone B et al. Erythematous nodule of the left eyebrow in a 14yo boy. ''JAMA Dermatol''. 2014 Feb;150(2):201-2. [https://pubmed.ncbi.nlm.nih.gov/24352301/ 연결]</ref>,궤양을 동반할 수도 있다. 치유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위축성 반흔을 남기게 된다<ref>Philips CA et al. Simultaneous occurrence of ocular, disseminated mucocutaneous, and multivisceral involvement of leishmaniasis. ''Case Rep Infect Dis''. 2014;2014:837625. [https://pubmed.ncbi.nlm.nih.gov/24707415/ 연결]</ref><ref>Durdu M et al. Periocular involvement in cutaneous leishmaniasis.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7 Feb;21(2):214-8. [https://pubmed.ncbi.nlm.nih.gov/17243957/ 연결]</ref>. | ||
== 진단 == | == 진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