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성안: 두 판 사이의 차이

278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23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병력)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2017년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Society, Dry Eye Workshop II (TFOS DEWS II)에 의하면 '눈물막의 항상성 소실, 눈물막의 불안정성, 눈물 삼투압 증가, 안구 표면의 염증 및 신경감각 이상이 동반되는 다인성 질환' 으로 알려져 있다.
2017년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Society, Dry Eye Workshop II (TFOS DEWS II)에 의하면 '눈물막의 항상성 소실, 눈물막의 불안정성, 눈물 삼투압 증가, 안구 표면의 염증 및 신경감각 이상이 동반되는 다인성 질환' 으로 알려져 있다.
발표되는 연구에 따라
* 눈물 기능 이상증 (dysfunctional tear syndrome)
* 건성 각결막염 (keratoconjunctivitis sicca
* 건성안 증후군 (sicca syndrome)
등으로 다양하게 명명되었으며,건성안의 정의와 진단 기준 또한 다양하다.
== 역학 ==
== 역학 ==
미국의 역학 조사에서 전체 인구의 0.4~0.5% 가 임상적으로 건성안이라고 진단되었으며, 여성과 노인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미국의 역학 조사에서 전체 인구의 0.4~0.5% 가 임상적으로 건성안이라고 진단되었으며, 여성과 노인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