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막: 두 판 사이의 차이

55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23일 (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구조)
4번째 줄: 4번째 줄:
== 구조 ==
== 구조 ==
눈물막은 복잡한 합성물로, 구성 요소는 [[눈물샘]], [[덧눈물샘]], [[마이봄샘]], [[술잔 세포]] 등으로부터 분비된다<ref>Maitchouk DY et al. Tear production after unilateral removal of the main lacrimal gland in squirrel monkeys. ''Arch Ophthalmol''. 2000 Feb;118(2):246-52. [https://pubmed.ncbi.nlm.nih.gov/10676790/ 연결]</ref>. 안구 표면의 기타 분비 기관인 크라우제선, 몰선, 볼프링선 역시 눈물샘과 비슷한 구조를 갖는다<ref>Seifert P et al.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VIP) innervation of the human eyelid glands. ''Exp Eye Res''. 1999 Jun;68(6):685-92. [https://pubmed.ncbi.nlm.nih.gov/10375432/ 연결]</ref>.
눈물막은 복잡한 합성물로, 구성 요소는 [[눈물샘]], [[덧눈물샘]], [[마이봄샘]], [[술잔 세포]] 등으로부터 분비된다<ref>Maitchouk DY et al. Tear production after unilateral removal of the main lacrimal gland in squirrel monkeys. ''Arch Ophthalmol''. 2000 Feb;118(2):246-52. [https://pubmed.ncbi.nlm.nih.gov/10676790/ 연결]</ref>. 안구 표면의 기타 분비 기관인 크라우제선, 몰선, 볼프링선 역시 눈물샘과 비슷한 구조를 갖는다<ref>Seifert P et al.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VIP) innervation of the human eyelid glands. ''Exp Eye Res''. 1999 Jun;68(6):685-92. [https://pubmed.ncbi.nlm.nih.gov/10375432/ 연결]</ref>.
=== 두께 ===
눈물막의 두께는 성별, 연령, 측정 방법, 측정 장소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각막을 덮는 눈물막의 두께는 약 3~5㎛로 보고된다<ref>King-Smith PE et al. The thickness of the TF. ''Curr Eye Res''. 2004 Oct-Nov;29(4-5):357-68. [https://pubmed.ncbi.nlm.nih.gov/15590483/ 연결]</ref><ref>Creech JL et al. In vivo TF thickness determination and implications for TF stability. ''Curr Eye Res''. 1998 Nov;17(11):1058-66. [https://pubmed.ncbi.nlm.nih.gov/9846624/ 연결]</ref>.
== 분류 ==
== 분류 ==
과거에는 눈물막을 세 층으로 분류하였으나, 최근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가장 바깥쪽부터)
과거에는 눈물막을 세 층으로 분류하였으나, 최근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가장 바깥쪽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