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채 고정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홍채 고정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iris-fixed phakic intraocular lens)'''{{각막}}
'''홍채 고정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iris-fixed phakic intraocular lens)'''{{각막}}
== 역사 ==
치음에는 무수정체 교정용으로 도입되었다<ref>Perkins ES. Morbidity from myopia. ''Sight Sav Rev''. 1979 Spring;49(1):11-19. [https://pubmed.ncbi.nlm.nih.gov/538453/ 연결]</ref>. 초기 디자인인 Binkhorst 와 Medallion 렌즈에서는 낭포 황반부종, 각막 내피 부전, 렌즈 탈구 등의 분제가 있었다. 1986년 Fechner가 근시 교정에 처음 시도했으며, 초기 시력 교정 효과는 좋았으나 내피세포 손상이 진행되었다. 이런 합병증은 비교적 움직임이 적은 홍채 중간 부위를 렌즈 지지부 집게발에 고정하는 Artisan 렌즈 (Ophtec BV) 로 많이 개선되었다, 또한 난시를 줄이기 위해 작은 절개 상으로 삽입이 가능한 Artiflex 렌즈도 개발되었다.
== 종류 ==
== 종류 ==
원래 무수정체 교정용으로 도입되었으며, 초기 디자인인 Binkhorst와 Medallion 렌즈에서는 낭포 황반부종, 각막 내피 부전, 렌즈 이탈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 [[아티산]] (Artisan®)
* [[아티산]] (Artisan®)
* [[아티플렉스]] (Artiflex®)
* [[아티플렉스]] (Artiflex®)
== 장점 ==
== 장점 ==
홍채에 고정되므로 회선이 발생하지 않아 적절히 고정된다면 늘 같은 시력 교정 효과를 발휘하고, 항상 동일한 8.5mm 크기의 인공수정체를 사용하기에 인공수정체 크기 선정 오류가 없다.
홍채에 고정되므로 회선이 발생하지 않아 적절히 고정된다면 늘 같은 시력 교정 효과를 발휘하고, 항상 동일한 8.5mm 크기의 인공수정체를 사용하기에 인공수정체 크기 선정 오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