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병력) |
잔글 (→임상 소견)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식습관, 애완동물 노출, 약물 복용의 병력을 청취해야 한다. 생고기 (톡소포자충증), 날생선, 저온 살균하지 않은 유제품 (브루셀라증) 섭취 등에 관한 정보는 진단적 단서를 제공해 준다. 고양이와의 접촉은 톡소포자충증 및 바르토넬라증과 연관 있고, 강아지와의 접촉은 개회중증의 위험 요소가 된다. 정맥을 통한 약물 남용 병력이 있는 환자는 특히 진균에 의한 전이성 안내염의 위험이 높다. 또한 사람 백혈구 항원 (HLA) 과 연관된 질환에서는 가족력이 포도막염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HLA-B27 연관 앞포도막염 및 강직 척주염에서는 유전적 경향이 강하다<ref>Martin TM et al. Identifying genes that cause disease : HLA-B27, the paradigm, the promise, the perplexity. ''BJO''. 1998 Dec;82(12):1354-5. [https://pubmed.ncbi.nlm.nih.gov/9930262/ 연결]</ref>. 만성 앞포도막염의 경우에도 일반 인구에서보다 염증 장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에서 더욱 흔히 발견된다<ref>Lin P et al. Family histor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patients w idiopathic ocular inflammation. ''AJO''. 2006 Jun;141(6):1097-104. [https://pubmed.ncbi.nlm.nih.gov/16765679/ 연결]</ref>. | 식습관, 애완동물 노출, 약물 복용의 병력을 청취해야 한다. 생고기 (톡소포자충증), 날생선, 저온 살균하지 않은 유제품 (브루셀라증) 섭취 등에 관한 정보는 진단적 단서를 제공해 준다. 고양이와의 접촉은 톡소포자충증 및 바르토넬라증과 연관 있고, 강아지와의 접촉은 개회중증의 위험 요소가 된다. 정맥을 통한 약물 남용 병력이 있는 환자는 특히 진균에 의한 전이성 안내염의 위험이 높다. 또한 사람 백혈구 항원 (HLA) 과 연관된 질환에서는 가족력이 포도막염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HLA-B27 연관 앞포도막염 및 강직 척주염에서는 유전적 경향이 강하다<ref>Martin TM et al. Identifying genes that cause disease : HLA-B27, the paradigm, the promise, the perplexity. ''BJO''. 1998 Dec;82(12):1354-5. [https://pubmed.ncbi.nlm.nih.gov/9930262/ 연결]</ref>. 만성 앞포도막염의 경우에도 일반 인구에서보다 염증 장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에서 더욱 흔히 발견된다<ref>Lin P et al. Family histor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patients w idiopathic ocular inflammation. ''AJO''. 2006 Jun;141(6):1097-104. [https://pubmed.ncbi.nlm.nih.gov/16765679/ 연결]</ref>.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 외안부 === | |||
포도막염 환자에서 외안부 검사는 감별 진단에 중요하다, 앞포도막염의 경우 대부분에서 피부, 관절, 구강, 림프 기관을 살펴봐야 할 뿐 아니라 적절한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눈 부속 기관에서는 피부 병변 유무, 눈물샘 부종, 피부와 눈썹의 색소 변화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 |||
=== 동공 === | |||
앞포도막염의 경우 대부분 홍채뒤 유착으로 인해 동공 반사가 감소되거나 소실되어 있다. 그러나 헤르페스 홍채염 환자의 경우에는 동공이 확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홍채염이 심한 경우에는 유착이 없어도 동공 반사가 불량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심 동공운동 장애를 평가해봄으로써 후안부 질환 유무를 가려낼 수 있다. | |||
=== 공막, 결막 ===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