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719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1일 (수)
잔글
잔글 (→‎각막)
잔글 (→‎안압)
52번째 줄: 52번째 줄:
=== 안압 ===
=== 안압 ===
심한 급성 홍채섬모체염의 대부분에서는 섬모체 염증으로 인해 방수 생산이 줄어 안압이 감소한다,그러나 염증 세포나 조직 파편이 섬유주를 막아 방수 유출로에 변화가 생기면 안압이 오를 수 있다. 경증이나 중등 도 급성 포도막염에서 안압이 상승하면 [[포스너-쉴로스만 증후군]] 혹은 헤르페스 포도막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만성 포도막염에서는 안압 상승이 잦은데, 이는 홍채앞 유착의 진행, 360도 홍채뒤 유착으로 인한 홍채 볼록 혹은 전방각 신생혈관으로 인해 전방각이 폐쇄되어 발생한다. 또한 섬유주의 염증성 변화나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인해 개방각 녹내장도 종종 생긴다.
심한 급성 홍채섬모체염의 대부분에서는 섬모체 염증으로 인해 방수 생산이 줄어 안압이 감소한다,그러나 염증 세포나 조직 파편이 섬유주를 막아 방수 유출로에 변화가 생기면 안압이 오를 수 있다. 경증이나 중등 도 급성 포도막염에서 안압이 상승하면 [[포스너-쉴로스만 증후군]] 혹은 헤르페스 포도막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만성 포도막염에서는 안압 상승이 잦은데, 이는 홍채앞 유착의 진행, 360도 홍채뒤 유착으로 인한 홍채 볼록 혹은 전방각 신생혈관으로 인해 전방각이 폐쇄되어 발생한다. 또한 섬유주의 염증성 변화나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인해 개방각 녹내장도 종종 생긴다.
=== 망막, 시신경 ===
앞포도막염 환자는 반드시 산동해서 후안부를 검사해 야 한다. 유리체에 현저한 염증이 있다면 중간 혹은 뒤 포도막염이 같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망막도 검사해 톡소포자충증, 달렌-푹스 소결절 혹은 망막염과 같은 염증 병변이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하고, [[낭포 황반부종]]이 있는지 황반부를 주의 깊게 검사해야 한다. 전안부의 심한 염중의 일부로 혹은 [[다발 경화증]]이나 육아종성 질환의 일부로 시신경 염중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안내 이물, 종양, 망막박리 등을 배제하기 위해서라도 후안부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