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407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1일 (수)
잔글
70번째 줄: 70번째 줄:


=== TNF-α 억제제 ===
=== TNF-α 억제제 ===
종양 괴사인자 (TNF)-α 억제제와 같은 생물학적 제제는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강직 척추염 같은 관절염의 전신 치료에 효과적이다<ref>최석규 등, 난치성 포도막염에서 종양 괴사인자 항체의 치료 효과, ''한안지'' 2007;48(2):273-27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116 연결]</ref>. 이는 모든 종류의 포도막염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으나 뒤포도막염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고, 시력을 위협하는 포도막염의 경우 다른 제제들로 치료에 실패했을 경우를 대비해 남겨두어야 한다. 최근 임상에서 사용되는 TNF-α 억제제로
종양 괴사인자 (TNF)-α 억제제와 같은 생물학적 제제는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강직 척추염 같은 관절염의 전신 치료에 효과적이다<ref>최석규 등, 난치성 포도막염에서 종양 괴사인자 항체의 치료 효과, ''한안지'' 2007;48(2):273-27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116 연결]</ref><ref>Smith JR et al. Differential efficacy of TNF inhibition in the management of inflammatory eye disease and associated rheumatic disease. ''Arthritis Rheum''. 2001 Jun;45(3):252-7. [https://pubmed.ncbi.nlm.nih.gov/11409666/ 연결]</ref>. 이는 모든 종류의 포도막염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으나 뒤포도막염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고, 시력을 위협하는 포도막염의 경우 다른 제제들로 치료에 실패했을 경우를 대비해 남겨두어야 한다. 최근 임상에서 사용되는 TNF-α 억제제로
* etanercept (Enbrel) : 관절 질환의 경우 피하로 주사하는데 눈 질환에서는 다른 종류의 TNF-α 억제제보다 덜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etanercept (Enbrel) : 관절 질환의 경우 피하로 주사하는데 눈 질환에서는 다른 종류의 TNF-α 억제제보다 덜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f>Smith JA et al.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masked clinical trial of etanercept for the treatment of uveitis a/w JIA. ''Arthritis Rheum''. 2005 Feb 15;53(1):18-23. [https://pubmed.ncbi.nlm.nih.gov/15696578/ 연결]</ref><ref>Baughman RP et al. Etanercept for refractory ocular sarcoidosis : results of a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Chest''. 2005 Aug;128(2):1062-47. [https://pubmed.ncbi.nlm.nih.gov/16100213/ 연결]</ref>.
* infliximab (Remicade) :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건선 관절염에 대해 승인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정맥 주사하며 특히 [[베체트병]]에 이차적으로 생긴 난치성 포도막염 환자의 80%에서 염증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infliximab (Remicade) :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건선 관절염에 대해 승인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정맥 주사하며 특히 [[베체트병]]에 이차적으로 생긴 난치성 포도막염 환자의 80%에서 염증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f>Niccoli L et al. Long-term efficacy of infliximab in refractory posterior uveitis of Behcet's disease : a 24m FU study. ''Rheumatology (Oxford)''. 2007 Jul;46(7):1161-4. [https://pubmed.ncbi.nlm.nih.gov/17478466/ 연결]</ref><ref>Imrie FR et al. Biologics in the treatment of uveitis. ''Curr Opin Ophthalmol''. 2007 Nov;18(6):481-6. [https://pubmed.ncbi.nlm.nih.gov/18163000/ 연결]</ref>.
* adalimumab (Humira) : infliximab보다 약제에 대한 항체가 생길 위험이 적으며, 피하로 주사하고 [[소아 특발 관절염]] 같은 유년기 포도막염 치료에 성공적이었다.
* adalimumab (Humira) : infliximab보다 약제에 대한 항체가 생길 위험이 적으며, 피하로 주사하고 [[소아 특발 관절염]] 같은 유년기 포도막염 치료에 성공적이었다<ref>Biester S et al. Adalimumab in the therapy of uveitis in childhood. ''BJO''. 2007 Mar;91(3):319-24. [https://pubmed.ncbi.nlm.nih.gov/17035274/ 연결]</ref><ref>Vazquez-Cobian LB et al. Adalimumab therapy for childhood uveitis. ''J Pediatr''. 2006 Oct;149(4):572-5. [https://pubmed.ncbi.nlm.nih.gov/17011337/ 연결]</ref>.
* golimumab (Simponi)
* golimumab (Simponi)
* certolizumab (Cimzia)
* certolizumab (Cimz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