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11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1일 (수)
잔글
잔글 (→‎치료)
잔글 (→‎검사)
56번째 줄: 56번째 줄:


== 검사 ==
== 검사 ==
앞포도막염 환자에서 진단적 평가는 진단의 최종 단계로서, 진단을 추정하거나 감별 진단을 좁히는 높은 예측치를 가진 검사를 식별해 접근해 나간다. 민감도나 특이도와는 달리 어떠한 검사의 양성 예측치란 인구당 질병의 유병률에 근거한다.
앞포도막염에서는 언제  어떻게 환자를 검사하는가에 대한 정확한 지침이 없다. 급성 포도막염이 첫 발병이고 경하며 단안이고 비육아종성이며 점안 스테로이드제에 반응하고, 근본 원인 질환에 대한 증거가 없다면 진단적 검사를 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첫 발병이라도 원인 질환을 강력히 의심할만한 경우나 육아종성 염증인 경우 혹은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는 검사를 시행해 야 한다. 또한 재발성이나 만성 염중 환자에서는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검사는 병력 및 이학적 검사 결과에 따라 달라지는데, 만약 전신 질환의 입부로 나타난 포도막염이라면 적합한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한다.
== 치료 ==
== 치료 ==
앞포도막염 단독에서는 대부분 스테로이드 점안제가 주요 치료법이다. 먼저 스테로이드를 며칠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점안한 후 천천히 감량해 중단한다. 이러한 치료 방법에 반응한다면 몇 주 후 치유될 수 있다. 전방내 염증 세포가 없으면 비활동성인 상태로 정의하고, 치료를 끝낸 후 3개월 이상 비활동성 상태를 유지하면 관해된 것으로 간주한다<ref name=r4 />. 반면 만성 앞포도막염에서는 염증을 억제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장기간 저용량 치료가 필요하고, 일부 환자에서는 전신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앞포도막염 단독에서는 대부분 스테로이드 점안제가 주요 치료법이다. 먼저 스테로이드를 며칠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점안한 후 천천히 감량해 중단한다. 이러한 치료 방법에 반응한다면 몇 주 후 치유될 수 있다. 전방내 염증 세포가 없으면 비활동성인 상태로 정의하고, 치료를 끝낸 후 3개월 이상 비활동성 상태를 유지하면 관해된 것으로 간주한다<ref name=r4 />. 반면 만성 앞포도막염에서는 염증을 억제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장기간 저용량 치료가 필요하고, 일부 환자에서는 전신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