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예후)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임상 소견<ref>McKeown CA et al. Tamoxifen retinopathy. ''BJO''. 1981 Mar;65(3):177-9. [https://pubmed.ncbi.nlm.nih.gov/7225310/ 연결]</ref> == | == 임상 소견<ref>McKeown CA et al. Tamoxifen retinopathy. ''BJO''. 1981 Mar;65(3):177-9. [https://pubmed.ncbi.nlm.nih.gov/7225310/ 연결]</ref> == | ||
다수의 백색 결정체가 황반 부근에 보이며 점 모양의 망막 색소변성을 동반한다. 많은 경우 시력 감소 및 색각 이상이 있으며 [[낭포 황반부종]]이 생긴다. | 다수의 백색 결정체가 황반 부근에 보이며 점 모양의 망막 색소변성을 동반한다. 많은 경우 시력 감소 및 색각 이상이 있으며 [[낭포 황반부종]] (CME) 이 생긴다. | ||
*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 후기에 황반에서 국소적인 염색을 보인다. | *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 후기에 황반에서 국소적인 염색을 보인다. | ||
* [[망막 전위도|ERG]] : a, b파의 진폭 감소가 관찰된다. | * [[망막 전위도|ERG]] : a, b파의 진폭 감소가 관찰된다. | ||
* [[시야 검사|VF]] : 시야 협착, 중심부근 암점이 나타날 수 있다. | * [[시야 검사|VF]] : 시야 협착, 중심부근 암점이 나타날 수 있다. | ||
== 조직학적 소견 == | == 조직학적 소견 == | ||
글리코사미노글리칸에 양성으로 염색되는 작은 세포 내 구형의 병변들이 보이며 이러한 소견은 황반 주위 결정체가 축삭 변성의 산물임을 시사하는 소견이라 할 수 있다. | 글리코사미노글리칸에 양성으로 염색되는 작은 세포 내 구형의 병변들이 보이며 이러한 소견은 황반 주위 결정체가 축삭 변성의 산물임을 시사하는 소견이라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