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 눈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349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5월 10일 (토)
잔글
잔글 (→‎분류)
15번째 줄: 15번째 줄:
* 2형 (침윤성) : 제1안위의 20˚ 이내에서 복시가 나타난다. 안구 돌출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고 좀 더 심하게 안구 돌출이 나타난다. CT에서 외안근이 커지고, 비대칭적이며 주로 하직근과 내직근이 침범된다. 눈 증상으로는 노출 각막염, 상윤부 각결막염, 복시, 압박 시신경병증, 안와 염증 등이 나타나며 1형보다 심한 양상을 보인다. 남녀간의 발생 빈도는 1.5:1로 비슷하다. 발생하는 나이는 24세부터 74세, 평균 52세로 1형보다 좀 더 많다. 흡연은 특히 2형과 연관이 있어서, 흡연율은 1형, 2형, 정상인에서 각각 63, 83, 26%로 보고되고 있다.
* 2형 (침윤성) : 제1안위의 20˚ 이내에서 복시가 나타난다. 안구 돌출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고 좀 더 심하게 안구 돌출이 나타난다. CT에서 외안근이 커지고, 비대칭적이며 주로 하직근과 내직근이 침범된다. 눈 증상으로는 노출 각막염, 상윤부 각결막염, 복시, 압박 시신경병증, 안와 염증 등이 나타나며 1형보다 심한 양상을 보인다. 남녀간의 발생 빈도는 1.5:1로 비슷하다. 발생하는 나이는 24세부터 74세, 평균 52세로 1형보다 좀 더 많다. 흡연은 특히 2형과 연관이 있어서, 흡연율은 1형, 2형, 정상인에서 각각 63, 83, 26%로 보고되고 있다.
== 분류 ==
== 분류 ==
=== VISA 분류 ===
=== NOSPECS ===
1969년 Werner 등에 의해 발표되었으며, 증상, 징후, 연조직 침범, 안구 돌출, 외안근 침범, 각막 침범, 시신경 침범의 총 7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증상이나 징후가 없는 class 0 에서, 시신경병증에 의한 시력 소실이 발생한 class 7까지 분류하였다 (표 29-2). 이후 각 항목 별로 점수를 세분한 기준을 제시하여 병의 중증도를 판단하여 분류하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병의 활동기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부족한 점이 있다.
=== 임상 활동도 점수 (CAS) ===
1989년 Mounts 등은 눈 주위나 뒤에 압박감 혹은 통증,눈 움직임 시 통증, 눈꺼풀 발적, 결막 충혈, 결막 부종, 눈물 언덕 부종,눈꺼풀 부종,최근 1~3개월간 안구 돌출 악화, 최근 1~3개월 간 시력 감소, 최근 1~3개월간 눈운동 장애 악화 등의 10가지 항목의 증상이나 징후를 조사하여 해당하는 각 항목 당 1점씩 0~10까지의 점수 (inflammatory index) 로 사용하고 점수가 4점 이상이면 활동성 (active) 의 염증이 있다고 하였다. 1992년 Gorman 등은 초진 시 첫 7개 항목을 평가하여 3점 이상을 활동기로 판단하며,경과 관찰 시에는 마지막 3개 항목을 포함하여 총 10개 항목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 VISA ===
2006년 Dolman과 Rootman에 의하여 발표되었으며, 환자의 주관적 증상과 객관적 소견을 각각
2006년 Dolman과 Rootman에 의하여 발표되었으며, 환자의 주관적 증상과 객관적 소견을 각각
* 시력 (Vision)
* 시력 (Vision)
33번째 줄: 37번째 줄:
눈꺼풀 뒤당김, 안구 돌출 등의 외관적 항목과 각막 노출과 연관된 항목으로 구성된다.
눈꺼풀 뒤당김, 안구 돌출 등의 외관적 항목과 각막 노출과 연관된 항목으로 구성된다.


=== EUGOGO 분류 ===
=== EUGOGO ===
2008년 EUGOGO ((European Group on Graves' Orbitopathy) 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2008년 EUGOGO ((European Group on Graves' Orbitopathy) 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 경도
* 경도
39번째 줄: 43번째 줄:
* 시력을 위협하는 매우 심한 경우 (압박 시신경병증, 심한 각막 이상)
* 시력을 위협하는 매우 심한 경우 (압박 시신경병증, 심한 각막 이상)
의 세 군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였다.
의 세 군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였다.
=== Nunery 분류 ===
=== Nunery ===
1991년 Nunery 등은 제한성 근병증과 중심 20도 이내에서의 복시 유무에 따라 분류하였다. Nunery 등은 7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처음 제 1형이던 것이 나중에 제 2형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없었다고 하였다. 제 1형과 2형이 한 환자에서 어느 정도 섞여 있을 수도 있지만 두 가지를 구분하는 이유는 안와 감압술 전후에 시신경병증과 복시의 예후 평가와 스테로이드나 방사선 치료의 반응 정도를 예측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 분류 방법으로 병의 활동기를 판정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1991년 Nunery 등은 제한성 근병증과 중심 20도 이내에서의 복시 유무에 따라 분류하였다. Nunery 등은 7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처음 제 1형이던 것이 나중에 제 2형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없었다고 하였다. 제 1형과 2형이 한 환자에서 어느 정도 섞여 있을 수도 있지만 두 가지를 구분하는 이유는 안와 감압술 전후에 시신경병증과 복시의 예후 평가와 스테로이드나 방사선 치료의 반응 정도를 예측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 분류 방법으로 병의 활동기를 판정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 1형 (비침윤성) ====
==== 1형 (비침윤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