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눈꺼풀 부종, 뒤당김) |
잔글 (→안구 돌출) |
||
66번째 줄: | 66번째 줄: | ||
TAO의 다른 증상이 동반되지 않은 눈꺼풀 뒤당김의 경우는 중뇌 질환, 뇌수종, [[등쪽 중뇌 증후군|Parinaud 증후군]] 등을 의심하여 감별하여야 한다. 장기간의 안구 돌출이 눈꺼풀 올림근을 신전시켜 오히려 눈꺼풀 처짐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나, 일정하지 않은 눈꺼풀 처짐이나 제한성이 아닌 눈운동 장애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중증 근무력증]]의 동반을 의심해야 한다. | TAO의 다른 증상이 동반되지 않은 눈꺼풀 뒤당김의 경우는 중뇌 질환, 뇌수종, [[등쪽 중뇌 증후군|Parinaud 증후군]] 등을 의심하여 감별하여야 한다. 장기간의 안구 돌출이 눈꺼풀 올림근을 신전시켜 오히려 눈꺼풀 처짐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나, 일정하지 않은 눈꺼풀 처짐이나 제한성이 아닌 눈운동 장애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중증 근무력증]]의 동반을 의심해야 한다. | ||
=== 안구 돌출 === | === 안구 돌출 === | ||
안와 연조직의 부종과 지방 조직의 비대로 축성 (axial) 안구 돌출이 발생하고 대개는 양측성이다. 정상 동양 성인의 경우 약 16~18 mm, 흑인과 백인 성인의 경우 각각 23 mm, 21 mm의 Hertel 안구 돌출계 값을 보이므로 이 값을 초과하면 안구 돌출을 의심할 수 있다. 그러나, 한눈을 침범히거나 두눈에 비대칭적으로 오는 경우도 있어, 두 눈의 차이가 2 mm 이상 되는 경우 비정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 | |||
안구 돌출 정도는 개인별 차이가 있으므로 절대적 수치보다는 상대적 변화를 유의하여 관찰하여야 하며, 환자의 이전 사진과 비교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눈꺼풀의 위치 이상을 동반하지 않더 라도 안구 돌출이 심하면 토끼눈과 각막 노출로 미용적 문제뿐 아니라 각막 미란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하면 각막 궤양과 천공까지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각막 보호에 유의하여야 한다. | |||
=== 눈운동 장애, 복시 (제한 근병증) === | |||
TAO 급성기의 외안근 부종이나 만성기의 섬유화로 인하여 제한 근병증에 의한 눈운동 장애 및 복시가 발생된다.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서서히 발병하여 간헐적으로 증상을 나타내며, 이러한 경우 복시 지속 시간의 증가가 병의 진행을 시사할 수 있다. | |||
하직근, 내직근, 상직근, 외직근의 순서로 호발하나 사근에도 침범될 수 있으며, 침범 근육의 반대 방향을 주시할 때 눈운동 장애 및 복시를 유발 한다. 침범된 근육의 안구 부착 부위에서 결막밑 혈관이 확장되어 있으며, 강제 견인 검사에서 침범된 외안근 반대 방향으로의 제한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면 주시할 때와 비교하여 상방 주시 때 안압이 4 mmHg 이상 증가하면 하직근의 제한을 의심할 수 있으며, 모든 안위에서 심각한 눈운동 제한이 있거나 안압이 정면보다 9 mmHg 이상 증가하면 압박 시신경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 |||
영상 검사에서 외안근을 침범한 특발 안와염의 경우와는 달리 외안근의 건부착 부위를 제외한 근육배부 (belly) 의 중간과 뒤쪽 1/3의 비대를 관찰 할 수 있다. 침범 근육과 일치하지 않는 눈운동 장애나 강제 견인 검사에서 음성 인 경우에는 [[중증 근무력증]]의 동반을 의심하여야 한다. | |||
=== 압박 시신경병증 === | |||
== 조직 병리 == | == 조직 병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