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 눈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20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5월 12일 (월)
잔글
잔글 (→‎염증)
88번째 줄: 88번째 줄:


진단은 위의 증상에 대한 검사와 더불어 영상 검사를 통하여 안와첨에서의 시신경 압박 여부 및 안와위 정맥의 확장, 시신경집(sheath)의 확장, 눈물샘의 전방 이동 등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모든 예에서 시신경 부종이나 창백이 관찰되는 것은 아니나, 관찰되는 경우는 시신경병증을 강력히 시사하게 된다. 시야검사 소견은 생리적 암점의 크기 증가, 신경 섬유다발 결손, 중심 부근 암점, 주시점 맹점 암점 (cecocentral scotoma), 전반적 감도 저하 등이 있다. 한눈이 침범되거나 두눈이 비대칭적으로 침범되는 경우에는 [[상대 구심 동공운동 장애]] (RAPD) 가 관찰될 수 있으며,[[시유발 전위]] 검사 상 잠복기의 증가나 진폭의 감소가 관찰될 수 있다. [[빛간섭 단층 촬영]] (OCT) 상 망막 신경섬유층과 황반 신경절세포 복합체의 두께 감소 정도로부터 치료 후 시력 회복 정도를 예상할 수 있다.
진단은 위의 증상에 대한 검사와 더불어 영상 검사를 통하여 안와첨에서의 시신경 압박 여부 및 안와위 정맥의 확장, 시신경집(sheath)의 확장, 눈물샘의 전방 이동 등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모든 예에서 시신경 부종이나 창백이 관찰되는 것은 아니나, 관찰되는 경우는 시신경병증을 강력히 시사하게 된다. 시야검사 소견은 생리적 암점의 크기 증가, 신경 섬유다발 결손, 중심 부근 암점, 주시점 맹점 암점 (cecocentral scotoma), 전반적 감도 저하 등이 있다. 한눈이 침범되거나 두눈이 비대칭적으로 침범되는 경우에는 [[상대 구심 동공운동 장애]] (RAPD) 가 관찰될 수 있으며,[[시유발 전위]] 검사 상 잠복기의 증가나 진폭의 감소가 관찰될 수 있다. [[빛간섭 단층 촬영]] (OCT) 상 망막 신경섬유층과 황반 신경절세포 복합체의 두께 감소 정도로부터 치료 후 시력 회복 정도를 예상할 수 있다.
== 영상 검사 ==


== 조직 병리 ==
== 조직 병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