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원인) |
잔글 (→관련 질환)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관련 질환 == | == 관련 질환 == | ||
* 근시 및 약시 : 교정되지 않은 소아 난시는 근시<ref>Gwiazda J e tal. Astigmatism and the development of myopia in children. ''Vision Res''. 2000;40(8):1019-26. [https://pubmed.ncbi.nlm.nih.gov/10720671/ 연결]</ref> 및 약시<ref>Huang J et al; Vision in Preschoolers (VIP) Study Group. RFs for astigmatism in the VIP Study. Optom Vis Sci. 2014 May;91(5):514-21. [https://pubmed.ncbi.nlm.nih.gov/24727825/ 연결]</ref>의 위험 인자로도 알려져 있다. 교정되지 않은 난시가 안구의 정상적인 정시화를 방해하여 근시를 유발한다는 가설도 있으며, 한 연구에 따르면 직난시안에서는 난시값이 클수록 근시의 중증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ref name=r5 />. 또한 약시를 보이는 소아에서는 그렇지 않은 소아에 비해 난시값이 크게 측정되었고, 난시가 있는 소아에서는 그렇지 않은 소아에 비해 약시를 보일 확률이 더 높았다 | * 근시 및 약시 : 교정되지 않은 소아 난시는 근시<ref>Gwiazda J e tal. Astigmatism and the development of myopia in children. ''Vision Res''. 2000;40(8):1019-26. [https://pubmed.ncbi.nlm.nih.gov/10720671/ 연결]</ref> 및 약시<ref>Huang J et al; Vision in Preschoolers (VIP) Study Group. RFs for astigmatism in the VIP Study. Optom Vis Sci. 2014 May;91(5):514-21. [https://pubmed.ncbi.nlm.nih.gov/24727825/ 연결]</ref>의 위험 인자로도 알려져 있다. 교정되지 않은 난시가 안구의 정상적인 정시화를 방해하여 근시를 유발한다는 가설도 있으며, 한 연구에 따르면 직난시안에서는 난시값이 클수록 근시의 중증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ref name=r5 />. 또한 약시를 보이는 소아에서는 그렇지 않은 소아에 비해 난시값이 크게 측정되었고, 난시가 있는 소아에서는 그렇지 않은 소아에 비해 약시를 보일 확률이 더 높았다. | ||
== 소아에서의 난시 == | == 소아에서의 난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