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켈로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9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8월 14일 (목)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원인)
 
3번째 줄: 3번째 줄:
선행 안질환이 없으면 드물게 나타나며, [[잘쯔만 결절 변성|SND]]군에 비해 어린 나이에서 발생하고 남성에서 좀 더 흔하다.
선행 안질환이 없으면 드물게 나타나며, [[잘쯔만 결절 변성|SND]]군에 비해 어린 나이에서 발생하고 남성에서 좀 더 흔하다.
== 원인 ==
== 원인 ==
외상이나 만성 안구 표면 염증이 나타난 이후 발생한다. Lowe 증후군<ref>Cibis GW et al. Corneal keloid in Lowe's syndrome. ''Arch Ophthalmol''. 1982 Nov;100(11):1795-9. [https://pubmed.ncbi.nlm.nih.gov/7138348/ 연결]</ref>과 연관 있으며, Rubinstein-Taybi 증후군<ref>Rao SK et al. Bilateral congenital corneal keloids and AS mesenchymal dysgenesis in a case of Rubinstein-Taybi syndrome. ''Cornea''. 2002 Jan;21(1):126-30. [https://pubmed.ncbi.nlm.nih.gov/11805525/ 연결]</ref>에서 선천성으로 발견될 수 있다.
외상이나 만성 안구 표면 염증이 나타난 이후 발생한다. Lowe 증후군<ref>Cibis GW et al. Corneal keloid in Lowe's syndrome. ''Arch Ophthalmol''. 1982 Nov;100(11):1795-9. [https://pubmed.ncbi.nlm.nih.gov/7138348/ 연결]</ref>과 연관 있으며, Rubinstein-Taybi 증후군<ref>Rao SK et al. Bilateral congenital corneal keloids and AS mesenchymal dysgenesis in a case of Rubinstein-Taybi syndrome. ''Cornea''. 2002 Jan;21(1):126-30. [https://pubmed.ncbi.nlm.nih.gov/11805525/ 연결]</ref>에서 선천성으로 발견될 수 있다. 드물게 [[선천 녹내장]]에서도 켈로이드가 나타날 수 있다.
 
== 임상 양상 ==
== 임상 양상 ==
결절은 흰색이며 표재성이지만 심부 기질로 침범하기도 하며, 임상적으로 사라지지 않고 초기 경계 밖으로 커질 수 있다. 이 때 자극김이나 시력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결절은 흰색이며 표재성이지만 심부 기질로 침범하기도 하며, 임상적으로 사라지지 않고 초기 경계 밖으로 커질 수 있다. 이 때 자극김이나 시력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