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823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임상 소견)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 [[안저 자가 형광|AF]] : 과형광을 보인다. | * [[안저 자가 형광|AF]] : 과형광을 보인다. | ||
* SD-[[빛간섭 단층 촬영|OCT]] : 반점 부위를 측정하면 돔 모양 또는 고깔 모양의 고반사의 병변이 주로 [[망막 색소상피|RPE]]부터 외경계막 또는 외핵층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는 것이 관찰된다<ref name=r7>남기엽 등. 9세 소아에서 진단된 흰점 망막병증. ''한안지'' 2019;60(10):999-100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723 연결]</ref>. | * SD-[[빛간섭 단층 촬영|OCT]] : 반점 부위를 측정하면 돔 모양 또는 고깔 모양의 고반사의 병변이 주로 [[망막 색소상피|RPE]]부터 외경계막 또는 외핵층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는 것이 관찰된다<ref name=r7>남기엽 등. 9세 소아에서 진단된 흰점 망막병증. ''한안지'' 2019;60(10):999-100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723 연결]</ref>. | ||
* ff ERG :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20분의 암순응 후 결과는 암순응 (DA) ERG가 비정상적으로 감소되어 있지만 암순응 진동 소파 전위 (dark adapted 3.0 oscillatory potentials ERG) 와 명순응 (LA) 3.0 ERG 그리고 점멸에 대한 반응 (LA 3.0 30 Hz flicker ERG) 은 정상으로 관찰되어 심한 [[막대세포]] 기능 이상에 해당하는 소견을 보인다. 반면 [[망막 전위도|ERG]]를 150~180분의 충분한 암순응 후에 다시 시행하면 DA ERG가 정상 범위로 호전되는 특징이 관찰된다<ref name=r7 />. 암순응 시간에 상관 없이 LA ERG는 대체로 정상 소견을 보이지만, 나이가 들면서 [[원뿔세포]] 기능 이상 소견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며, 적응 제어 광학 (adaptive optics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AOSLO) 을 이용한 연구에서 [[원뿔세포]]의 밀도가 부분적으로 감소된 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 * ff ERG :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20분의 암순응 후 결과는 암순응 (DA) ERG가 비정상적으로 감소되어 있지만 암순응 진동 소파 전위 (dark adapted 3.0 oscillatory potentials ERG) 와 명순응 (LA) 3.0 ERG 그리고 점멸에 대한 반응 (LA 3.0 30 Hz flicker ERG) 은 정상으로 관찰되어 심한 [[막대세포]] 기능 이상에 해당하는 소견을 보인다. 반면 [[망막 전위도|ERG]]를 150~180분의 충분한 암순응 후에 다시 시행하면 DA ERG가 정상 범위로 호전되는 특징이 관찰된다<ref name=r7 />. 암순응 시간에 상관 없이 LA ERG는 대체로 정상 소견을 보이지만, 나이가 들면서 [[원뿔세포]] 기능 이상 소견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며<ref>Niwa Y et al. Cone and rod dysfunction in fundus albipunctatus w RDH5 mutation : an electrophysiological study. ''IOVS''. 2005 Apr;46(4):1480-5. [https://pubmed.ncbi.nlm.nih.gov/15790919/ 연결]</ref><ref>Miyake Y et al. Fundus albipunctatus a/w cone dystrophy. ''BJO''. 1992 Jun;76(6):375-9. [https://pubmed.ncbi.nlm.nih.gov/1622952/ 연결]</ref><ref>Nakamura M et al. Young monozygotic twin sisters w fundus albipunctatus and cone dystrophy. ''Arch Ophthalmol''. 2004 Aug;122(8):1203-7. [https://pubmed.ncbi.nlm.nih.gov/15302662/ 연결]</ref>, 적응 제어 광학 (adaptive optics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AOSLO) 을 이용한 연구에서 [[원뿔세포]]의 밀도가 부분적으로 감소된 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ref>Makiyama Y et al. Cone abnormalities in fundus albipunctatus a/w RDH5 mutations assessed using AOSLO. ''AJO''. 2014 Mar;157(3):558-70.e1-4. [https://pubmed.ncbi.nlm.nih.gov/24246574/ 연결]</ref>. 암순응 검사에서 [[원뿔세포]]와 [[막대세포]] 모두에서 지연되어 막대-원뿔세포 굴곡점의 출현 시간 및 암 응의 제 2상 (막대세포부) 의 정상 역치까지 모두 지연되지만 [[오구치병]]처럼 심하지는 않다.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