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층 황반원공: 두 판 사이의 차이

64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9월 19일 (금)
잔글
10번째 줄: 10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동그란 모양보다는 2~3개의 소엽으로 관찰되며, 병변의 주변부 망막이 두껍게 융기되지 않고 얇아져 있다는 점에서 [[특발성 황반 원공]]과 구분이 가능하다.
동그란 모양보다는 2~3개의 소엽으로 관찰되며, 병변의 주변부 망막이 두껍게 융기되지 않고 얇아져 있다는 점에서 [[특발성 황반 원공]]과 구분이 가능하다. Watzke-Allen 검사는 음성이다.
* OCT : 망막 색소상피와 광수용 세포층은 유지되면서 중심와 두께가 얇아지고, 병변의 가장자리에서 망막내층과 외층 사이의 갈라진 틈과 낭포성 변화가 관찰된다.
* OCT : 중심와 내측 망막의 결손이 발생하고 병변 바닥이 불규칙하게 얇아지는 모습을 보이며, 병변 가장자리 망막내층과 외층 사이가 갈라지는 틈이 관찰되곤 한다<ref>Haouchine B et al. Diagnosis of MPH and lamellar macular holes by OCT. ''AJO''. 2004 Nov;138(5):732-9. [https://pubmed.ncbi.nlm.nih.gov/15531306/ 연결]</ref>.
* 현미경 검사 : 원형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고 2~3개의 소엽으로 관찰되며, Watzke-Allen test는 음성이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