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 내사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0년 3월 20일 (금)
잔글
(새 문서: <b>영아 내사시 (infantile esotropia)</b> 는 "생후 6개월 이내에 발견되는 일치 내사시로 대개 <span style='color:blue;'>30PD 이상의 큰 내사시각</span>을...)
 
 
11번째 줄: 11번째 줄:
사시각은 [[허쉬버그 검사]], [[크림스키 검사]], [[교대 프리즘 가림 검사]] 등으로 측정한다. 수술 전 최대 내사시각은 교대 프리즘 가림 검사로 측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협조가 되지 않는 유아에서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사시각은 [[허쉬버그 검사]], [[크림스키 검사]], [[교대 프리즘 가림 검사]] 등으로 측정한다. 수술 전 최대 내사시각은 교대 프리즘 가림 검사로 측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협조가 되지 않는 유아에서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 두눈 외향신경 마비 : 영아 내사시는 외향신경 마비와는 달리 (1) 머리를 돌릴 때(Doll's head maneuver) 돌리는 방향과 반대로 눈이 외전되고, (2) 한눈을 가렸을 때 가리지 않은 눈의 외전이 가능하며, (3) 전신마취 하 견인 검사에서 내직근의 수축이 심하지 않을 수도 있다.
* 두눈 외향신경 마비 : 영아 내사시는 외향신경 마비와는 달리 (1) 머리를 돌릴 때(Doll's head maneuver) 돌리는 방향과 반대로 눈이 외전되고, (2) 한눈을 가렸을 때 가리지 않은 눈의 외전이 가능하며, (3) 전신마취 하 견인 검사에서 내직근의 수축이 심하지 않을 수도 있다.
* [[눈떨림 억제 증후군]] : 심한 눈떨림이 있을 때 눈모음을 이용하여 내사시를 만드는데, 눈이 코쪽으로 몰리면 눈떨림이 감소되고 시력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제일 눈위치에서 심한 눈떨림이 있으며 외전시키면 된눈떨림이 심해진다.
* [[눈떨림 억제 증후군]] : 심한 눈떨림이 있을 때 눈모음을 이용하여 내사시를 만드는데, 눈이 코쪽으로 몰리면 눈떨림이 감소되고 시력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제일 눈위치에서 심한 눈떨림이 있으며 외전시키면 된눈떨림이 심해진다.
* 중추신경계 이상과 관련된 내사시 : 출산 외상, 뇌수종 때문에 온 뇌압 상승, 듀안 안구후퇴 증후군 I형, 백색증, 뇌성마비, 정신지체
* 중추신경계 이상과 관련된 내사시 : 출산 외상, 뇌수종 때문에 온 뇌압 상승, 듀안 안구후퇴 증후군 I형, 백색증, 뇌성마비, 정신지체
* 뫼비우스 증후군, 조기 발병 굴절 조절 내사시, 감각 내사시 등도 감별해야 한다.
* 뫼비우스 증후군, 조기 발병 굴절 조절 내사시, 감각 내사시 등도 감별해야 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