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막: 두 판 사이의 차이

3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3월 24일 (화)
잔글
6번째 줄: 6번째 줄:
== 조직 병리 ==
== 조직 병리 ==
# 결막 상피
# 결막 상피
** 결막 구석과 눈꺼풀 결막 : 위결막구석의 상피는 2~3층, 아래결막구석의 상피는 4~5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주 형태를 보이는데, <span style='color:blue;'>눈꺼풀테쪽으로 가면서 점차 입방형, 편평 형태의 상피로 이행되며 간격도 촘촘해진다</span>. 눈꺼풀 결막의 표면에는 상피세포에 둘러싸인 pseudocrypts of Henle가 술잔 세포에서 분비된 점액을 함유하고 있다. 눈꺼풀테의 결막 표면 세포는 비각질화되어 있지만 눈물층에서 벗어나 공기에 노출되면 각질화된다.
* 결막 구석과 눈꺼풀 결막 : 위결막구석의 상피는 2~3층, 아래결막구석의 상피는 4~5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주 형태를 보이는데, <span style='color:blue;'>눈꺼풀테쪽으로 가면서 점차 입방형, 편평 형태의 상피로 이행되며 간격도 촘촘해진다</span>. 눈꺼풀 결막의 표면에는 상피세포에 둘러싸인 pseudocrypts of Henle가 술잔 세포에서 분비된 점액을 함유하고 있다. 눈꺼풀테의 결막 표면 세포는 비각질화되어 있지만 눈물층에서 벗어나 공기에 노출되면 각질화된다.
** 안구 결막 : 안구 결막의 상피세포는 6~9층의 세포층이 각막 상피에 비해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세포질 내에는 당김 미세섬유가 다발을 이루며 각막에 비해 훨씬 적은 수의 부착 반점으로 연결되어 있다. 표면의 상피세포는 미세한 주름이 많고 전자현미경으로 융모 형태가 관찰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보다 넓은 세포내 공간을 갖게 된다. 세포간의 결합도 느슨하고 상피세포가 붙어있는 바닥막도 얇고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세포나 물질이 상피세포에서 아래의 실질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물질이 외부에서 결막 표면으로 주입되면 세포내로 쉽게 침투하고, 곧 결막하의 혈관을 통해 체순환될 수 있다. <span style='color:blue;'>바닥막 부근의 상피에서 멜라닌 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림프구 등이 관찰되기도 한다</span>.
* 안구 결막 : 안구 결막의 상피세포는 6~9층의 세포층이 각막 상피에 비해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세포질 내에는 당김 미세섬유가 다발을 이루며 각막에 비해 훨씬 적은 수의 부착 반점으로 연결되어 있다. 표면의 상피세포는 미세한 주름이 많고 전자현미경으로 융모 형태가 관찰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보다 넓은 세포내 공간을 갖게 된다. 세포간의 결합도 느슨하고 상피세포가 붙어있는 바닥막도 얇고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세포나 물질이 상피세포에서 아래의 실질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물질이 외부에서 결막 표면으로 주입되면 세포내로 쉽게 침투하고, 곧 결막하의 혈관을 통해 체순환될 수 있다. <span style='color:blue;'>바닥막 부근의 상피에서 멜라닌 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림프구 등이 관찰되기도 한다</span>.
** 윤부 : 윤부에서도 눈꺼풀의 피부-점막 경계처럼 변이를 볼 수 있다. 즉, 안구 결막의 중증 원주세포가 각막의 중증 편평세포로 점차 이행하며, 7~10층의 세포층을 구성하고 세포간의 연결이 견고해진다.
* 윤부 : 윤부에서도 눈꺼풀의 피부-점막 경계처럼 변이를 볼 수 있다. 즉, 안구 결막의 중증 원주세포가 각막의 중증 편평세포로 점차 이행하며, 7~10층의 세포층을 구성하고 세포간의 연결이 견고해진다.
# [[술잔 세포]]
# [[술잔 세포]]
# 결막 실질 : 섬유혈관성 결합 조직으로 위치에 따라 두께가 다양하다. 눈꺼풀 결막에서는 얇고 단단하게 눈꺼풀판에 붙어 있으며 아래눈꺼풀판에 비해 위눈꺼풀판에 더욱 견고하게 붙어 있다. 결막 구석에서는 더 두꺼우며 느슨하게 심부 안조직에 부착되어 있다. 윤부에서는 얇고 조밀하며, 테논낭 및 상공막 조직과 융합된다. 표면층과 심부층으로 나눌 수 있는데, 표면층은 느슨한 결합 조직으로서 출생 시에는 없지만 생후 8~12주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림프구로 이루어진 adenoid 층을 구성한다. 바이러스나 chlamydia 등의 감염에 의해 림프구가 자극되면 종자 중심이 있는 여포를 형성한다. 반면 유두는 histamine에 의한 혈관성 반응에 의해 생긴 만성적 염증 세포로서 가운데 혈관 핵심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심부층을 구성하는 섬유층에는 혈관, 림프관, 신경이 존재한다.
# 결막 실질 : 섬유혈관성 결합 조직으로 위치에 따라 두께가 다양하다. 눈꺼풀 결막에서는 얇고 단단하게 눈꺼풀판에 붙어 있으며 아래눈꺼풀판에 비해 위눈꺼풀판에 더욱 견고하게 붙어 있다. 결막 구석에서는 더 두꺼우며 느슨하게 심부 안조직에 부착되어 있다. 윤부에서는 얇고 조밀하며, 테논낭 및 상공막 조직과 융합된다. 표면층과 심부층으로 나눌 수 있는데, 표면층은 느슨한 결합 조직으로서 출생 시에는 없지만 생후 8~12주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림프구로 이루어진 adenoid 층을 구성한다. 바이러스나 chlamydia 등의 감염에 의해 림프구가 자극되면 종자 중심이 있는 여포를 형성한다. 반면 유두는 histamine에 의한 혈관성 반응에 의해 생긴 만성적 염증 세포로서 가운데 혈관 핵심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심부층을 구성하는 섬유층에는 혈관, 림프관, 신경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