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조직 병리)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해부학적 구조 == | == 해부학적 구조 == | ||
결막은 윤부에서 눈꺼풀의 피부-점막 경계까지 이어지며, 눈꺼풀의 내면을 덮고 있는 눈꺼풀 결막과 윤부에서 공막 앞면을 덮고 있는 안구 결막, 그리고 이 두 부위를 연결하는 결막 구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막의 상, 하, 이측의 세 방향에서 결막 구석을 형성하고 비측 방향에서는 늘어나기 쉽도록 여분의 주름을 형성하여 눈과 눈꺼풀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결막의 주름들은 표면을 늘이고 접촉면을 줄여서 안구 결막과 눈꺼풀 결막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br />결막 상피에는 [[술잔 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멜라닌 세포 등이 있으며, 실질에는 혈관과 림프관이 분포한다. 눈꺼풀의 마이봄선은 투명한 눈꺼풀 결막을 통해 쉽게 볼 수 있다. 여기서 분비된 기름 성분의 띠가 눈꺼풀의 피부-점막 경계를 나누는데, 이 경계면에서 공기와 접하는 눈꺼풀의 각질화된 편평 상피가 눈물이 닿는 결막 부위에서는 비각질화된다. | 결막은 윤부에서 눈꺼풀의 피부-점막 경계까지 이어지며, 눈꺼풀의 내면을 덮고 있는 눈꺼풀 결막과 윤부에서 공막 앞면을 덮고 있는 안구 결막, 그리고 이 두 부위를 연결하는 결막 구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막의 상, 하, 이측의 세 방향에서 결막 구석을 형성하고 비측 방향에서는 늘어나기 쉽도록 여분의 주름을 형성하여 눈과 눈꺼풀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결막의 주름들은 표면을 늘이고 접촉면을 줄여서 안구 결막과 눈꺼풀 결막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br />결막 상피에는 [[술잔 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멜라닌 세포 등이 있으며, 실질에는 혈관과 림프관이 분포한다. 눈꺼풀의 마이봄선은 투명한 눈꺼풀 결막을 통해 쉽게 볼 수 있다. 여기서 분비된 기름 성분의 띠가 눈꺼풀의 피부-점막 경계를 나누는데, 이 경계면에서 공기와 접하는 눈꺼풀의 각질화된 편평 상피가 눈물이 닿는 결막 부위에서는 비각질화된다. | ||
== 분류 == | |||
* [[눈꺼풀 결막]] | |||
* [[안구 결막]] | |||
== 조직 병리 == | == 조직 병리 == | ||
# 결막 상피 | # 결막 상피 | ||
11번째 줄: | 14번째 줄: | ||
# [[술잔 세포]] | # [[술잔 세포]] | ||
# 결막 실질 : 섬유혈관성 결합 조직으로 위치에 따라 두께가 다양하다. 눈꺼풀 결막에서는 얇고 단단하게 눈꺼풀판에 붙어 있으며 아래눈꺼풀판에 비해 위눈꺼풀판에 더욱 견고하게 붙어 있다. 결막 구석에서는 더 두꺼우며 느슨하게 심부 안조직에 부착되어 있다. 윤부에서는 얇고 조밀하며, 테논낭 및 상공막 조직과 융합된다. 표면층과 심부층으로 나눌 수 있는데, 표면층은 느슨한 결합 조직으로서 출생 시에는 없지만 생후 8~12주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림프구로 이루어진 adenoid 층을 구성한다. 바이러스나 chlamydia 등의 감염에 의해 림프구가 자극되면 종자 중심이 있는 여포를 형성한다. 반면 유두는 histamine에 의한 혈관성 반응에 의해 생긴 만성적 염증 세포로서 가운데 혈관 핵심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심부층을 구성하는 섬유층에는 혈관, 림프관, 신경이 존재한다. | # 결막 실질 : 섬유혈관성 결합 조직으로 위치에 따라 두께가 다양하다. 눈꺼풀 결막에서는 얇고 단단하게 눈꺼풀판에 붙어 있으며 아래눈꺼풀판에 비해 위눈꺼풀판에 더욱 견고하게 붙어 있다. 결막 구석에서는 더 두꺼우며 느슨하게 심부 안조직에 부착되어 있다. 윤부에서는 얇고 조밀하며, 테논낭 및 상공막 조직과 융합된다. 표면층과 심부층으로 나눌 수 있는데, 표면층은 느슨한 결합 조직으로서 출생 시에는 없지만 생후 8~12주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림프구로 이루어진 adenoid 층을 구성한다. 바이러스나 chlamydia 등의 감염에 의해 림프구가 자극되면 종자 중심이 있는 여포를 형성한다. 반면 유두는 histamine에 의한 혈관성 반응에 의해 생긴 만성적 염증 세포로서 가운데 혈관 핵심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심부층을 구성하는 섬유층에는 혈관, 림프관, 신경이 존재한다. | ||
== 혈액 공급 == | == 혈액 공급 == | ||
결막 미세혈관들은 맥락막 혈관과 마찬가지로 <span style='color:blue;'>창이 많아 투과되기 쉬워 형광 물질을 정맥 내에 주입하면 형광 염료가 창을 통해 새어 나온다</span>. 그러나 심부에 있는 혈관은 잘 투과되지 않으며 윤부의 보그트 울타리도 마찬가지로 잘 새지 않는다. 결막의 감염이나 자극, 안와내 염증 등이 있으면 결막의 미세혈관에서 혈장 단백질이 과도하게 누출되어 결막 부종이 야기된다. 눈꺼풀 결막의 정맥은 post-tarsal vein, 전안면 정맥의 심안면 가지와 날개근 정맥 얼기로 합유된다. 안구 결막의 정맥은 상공막 정맥 얼기를 통해 공막내 얼기로 합류한다. 바람, 저온, 고온의 영향을 받거나 또는 생리나 임신 초기와 같이 호르몬의 변화가 있을 경우 정맥 얼기가 확장될 수 있다. | 결막 미세혈관들은 맥락막 혈관과 마찬가지로 <span style='color:blue;'>창이 많아 투과되기 쉬워 형광 물질을 정맥 내에 주입하면 형광 염료가 창을 통해 새어 나온다</span>. 그러나 심부에 있는 혈관은 잘 투과되지 않으며 윤부의 보그트 울타리도 마찬가지로 잘 새지 않는다. 결막의 감염이나 자극, 안와내 염증 등이 있으면 결막의 미세혈관에서 혈장 단백질이 과도하게 누출되어 결막 부종이 야기된다. 눈꺼풀 결막의 정맥은 post-tarsal vein, 전안면 정맥의 심안면 가지와 날개근 정맥 얼기로 합유된다. 안구 결막의 정맥은 상공막 정맥 얼기를 통해 공막내 얼기로 합류한다. 바람, 저온, 고온의 영향을 받거나 또는 생리나 임신 초기와 같이 호르몬의 변화가 있을 경우 정맥 얼기가 확장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