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슨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5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4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터슨 증후군 (Terson's syndrome) 은 <span style='color:blue;'>지주막하 혹은 경막하 출혈이 망막 및 유리체 출혈을 동반한 경우</span>에 사용되는 용...)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터슨 증후군 (Terson's syndrome) 은 <span style='color:blue;'>지주막하 혹은 경막하 출혈이 망막 및 유리체 출혈을 동반한 경우</span>에 사용되는 용어로서, 1900년 Terson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다.
<b>터슨 증후군 (Terson's syndrome)</b> 은 <span style='color:blue;'>지주막하 혹은 경막하 출혈이 망막 및 유리체 출혈을 동반한 경우</span>에 사용되는 용어로서, 1900년 Terson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다.
== 역학 ==
== 역학 ==
자연적으로나 외상 후에 발생한 경막하 혹은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약 20%에서 눈속 출혈을 볼 수 있다.
자연적으로나 외상 후에 발생한 경막하 혹은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약 20%에서 눈속 출혈을 볼 수 있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 예후 및 합병증 ==
== 예후 및 합병증 ==
황반부나 시신경에 병적 이상을 동반하지 않으면 비교적 시력 예후는 양호하다. 가장 흔한 후유증은 <span style='color:blue;'>[[망막앞막]] 형성</span>이며, 많게는 증례안의 78%에서 볼 수 있고 황반 주위의 망막 주름과 망막 박리가 동반될 수 있다.
황반부나 시신경에 병적 이상을 동반하지 않으면 비교적 시력 예후는 양호하다. 가장 흔한 후유증은 <span style='color:blue;'>[[망막앞막]] 형성</span>이며, 많게는 증례안의 78%에서 볼 수 있고 황반 주위의 망막 주름과 망막 박리가 동반될 수 있다.
{{참고|망막}}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