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성안: 두 판 사이의 차이

239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26일 (금)
잔글
잔글 (→‎치료)
7번째 줄: 7번째 줄:
임상적으로 건성안을 명확히 둘 중 하나로 구분 짓기는 어려우며, 두 기전 모두 결국 공통된 기전을 통하여 dysfunctional tear syndrome 으로 이어지게 되지만, 이러한 분류는 건성안의 원인을 분류하는 데 유용하다.
임상적으로 건성안을 명확히 둘 중 하나로 구분 짓기는 어려우며, 두 기전 모두 결국 공통된 기전을 통하여 dysfunctional tear syndrome 으로 이어지게 되지만, 이러한 분류는 건성안의 원인을 분류하는 데 유용하다.
== 치료 ==
== 치료 ==
치료 목적은 눈을 보다 편안하게 하고 삶의 질을 높이며 안구 표면과 눈물막 본래의 항상성을 회복시키는 데 있다. 건성안의 기저 원인을 진단함으로써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다.
=== 눈물 대치-윤활제 ===
=== 눈물 대치-윤활제 ===
=== 기존 눈물의 보존 ===
=== 기존 눈물의 보존 ===
25번째 줄: 26번째 줄:
* 국소 비타민 A : 비타민 A가 결핍되면 건성안이 유발된다. 눈물 내에 레티놀 (retinol) 이 존재하기 때문에, 건성안이 안구 표면의 국소적 레티놀 결핍이라는 가정 하에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국소 비타민 A : 비타민 A가 결핍되면 건성안이 유발된다. 눈물 내에 레티놀 (retinol) 이 존재하기 때문에, 건성안이 안구 표면의 국소적 레티놀 결핍이라는 가정 하에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점액 용해제 (mucolytics)  : 눈물의 양이 감소하면 점액 침착물이 눈물층에 생기며 실모양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점액 용해제로 국소 acetylcysteine 이 치료에 이용되기도 하는데, 5~20% 희석액을 만들어 점안한다.
* 점액 용해제 (mucolytics)  : 눈물의 양이 감소하면 점액 침착물이 눈물층에 생기며 실모양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점액 용해제로 국소 acetylcysteine 이 치료에 이용되기도 하는데, 5~20% 희석액을 만들어 점안한다.
== 치료 지침 ==
== 치료 지침 ==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 한국 외안부 학회, 각막 제 3판
* 한국 외안부 학회, 각막 제 3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