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각 검사: 두 판 사이의 차이

2,340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7월 8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색각 검사 (color vision test)</b> == 거짓 동색표 (pseudoisochromatic color plates) == 거짓 동색표란 동일 색점으로 구성된 글씨나 숫자와 같은 형...)
 
잔글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 색각 배열 검사 (color arrangement test) ==
== 색각 배열 검사 (color arrangement test) ==
피검자로 하여금 일련의 순서로 배열된 색패 (color cap) 들을 무작위로 섞은 후 다시 원래의 순서대로 배열하게 함으로써 정상 배열 순서와의 차이를 알아내어 색각 이상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피검자로 하여금 일련의 순서로 배열된 색패 (color cap) 들을 무작위로 섞은 후 다시 원래의 순서대로 배열하게 함으로써 정상 배열 순서와의 차이를 알아내어 색각 이상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 장점 : 명도와 채도는 일정한 상태에서 색상만을 변화시켜 다른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오직 색상만의 차이를 알아낼 수 있는 방법으로 색각 이상의 종류와 그 정도를 양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
* 시간이 오래 걸리고, 피검자의 성의가 필요하므로 집단 검사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 Farnsworth-Munsel 100 hue 검사 ===
[[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 참고
=== Farnsworth panel D-15 검사 ===
[[판스워스 패널 D-15 검사]] 참고
=== 한식 2중 15 색상 배열 검사기 ===
배열용 상자에 높은 채도의 색패 15개 (A조) 와 낮은 채도의 색패 15개 (B조) 로 구성되어 있다. 저채도의 색패를 추가로 검사하여 중등도 이상의 색각 이상을 알아낼 수 있으나 역시 약한 색각 이상은 알아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 색등 검사 ==
[[색등 검사]] 참고
== 색각경 ==
[[색각경]] 참고
== 기타 ==
이외에도 컴퓨터와 모니터 또는 브라운관을 이용한 전산화된 몇몇 색각 검사들이 이용되고 있다.
=== 서한 컴퓨터 색각 검사 (Seohan computerized hue test) ===
[[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를 기본으로 하여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되어 있으나 아직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기존의 검사보다 빠르고 간편하면서 민감한 색각 검사를 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른 색패의 변색 등의 염려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였다.
* 종류 : -40 은 기초 검사용으로 색각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고, -85 는 정밀 검사용으로 색각 판별 능력의 정도의 색각 이상의 종류 구분용이다.
* 검사 방법 : 모니터의 밝기를 80%로, 대비도는 90%로 조정해서 실행하며, 해상도는 800×600 픽셀이 기본값으로 되어 있고, 16비트 (65,536색) 이상의 색을 낼 수 있는 그래픽 카드가 필요하다. 햇빛이 모니터 화면에 직사하지 않도록 하며, 검사실의 일상적인 조명에서 시행한다. 방법은 [[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와 비슷하고 출력도 비슷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 장점 : 검사의 결과, 분석, 디스플레이, 출력이 모두 전산화되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망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