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거미막밑 공간에서의 마비)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확장된 채로 고정된 동공만의 이상 | * 확장된 채로 고정된 동공만의 이상 | ||
* 동공을 침범한 안근 마비<br />다리사이 오목 부근의 병변으로 동안신경만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span style='color:blue;'>두개내 동맥류가 가장 흔한 원인</span>으로 특히 눈 주위의 갑작스런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데, 주로 뒤교통 동맥과 속목동맥 경계 부위의 동맥류 또는 뇌저동맥의 동맥류가 원인이며 이런 동맥류의 직접적인 압력 또는 출혈이나 파열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증상이 있을 때는 <span style='color:blue;'>동맥류의 유무를 영상 검사로 확인</span>해야 한다. 파열되지 않은 동맥류로 인한 동안신경 마비는 동맥류의 크기가 작아져서 저절로 회복될 수도 있다. | * 동공을 침범한 안근 마비<br />다리사이 오목 부근의 병변으로 동안신경만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span style='color:blue;'>두개내 동맥류가 가장 흔한 원인</span>으로 특히 눈 주위의 갑작스런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데, 주로 뒤교통 동맥과 속목동맥 경계 부위의 동맥류 또는 뇌저동맥의 동맥류가 원인이며 이런 동맥류의 직접적인 압력 또는 출혈이나 파열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증상이 있을 때는 <span style='color:blue;'>동맥류의 유무를 영상 검사로 확인</span>해야 한다. 파열되지 않은 동맥류로 인한 동안신경 마비는 동맥류의 크기가 작아져서 저절로 회복될 수도 있다. | ||
=== 동공 회피 동안신경 마비 === | |||
<span style='color:blue;'>허혈이 가장 흔한 원인</span>으로 당뇨병, 고혈압, 죽상 경화, 편두통, 전신 홍반 루푸스, 측두동맥염 등이 원인이며 대개 섬유속, 거미막밑 혹은 정맥동 부분에 병변이 있다. 심한 통증을 동반하며 이상 재생 없이 <span style='color:blue;'>4~16주 안에 저절로 호전</span>된다.<br />동공으로 가는 신경 섬유는 동안신경의 중심이 아닌 주변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허혈성 질환일 때는 잘 침범되지 않는다. 증상이 조금씩 심해지는 군과 증상이 시작된 후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 군으로 나눌 수 있으며, 진행하지 않는 군에서 회복이 빠르다. 대개의 환자에서 증상은 2~3주 동안 점점 심해지며, 이런 진행형에서는 초기 증상이 심하지 않으며 증상이 시작해서 가장 나빠지기까지의 중간값은 10일(3~23일)이라는 보고도 있다. | |||
== 예후 == | == 예후 == | ||
완전히 회복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회복될 수도 있다. 당뇨병, 고혈압 등으로 인한 마비는 대개 3개월 내에 회복되며 동맥류로 인한 마비는 3년 가량, 외상으로 인한 마비는 6개월에서 2년 정도 걸린다. 부분적으로 회복될 경우 동안신경 협동 운동을 동반할 수 있다. 외상으로 두개 골절을 동반한 동안신경 마비 환자에서 발생하는 동안신경 협동 운동은 외상 후 9주경에 관찰할 수 있다. 안와 내에서 발생한 동안신경 마비는 대개 예후가 좋으며 동안신경 협동 운동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 완전히 회복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회복될 수도 있다. 당뇨병, 고혈압 등으로 인한 마비는 대개 3개월 내에 회복되며 동맥류로 인한 마비는 3년 가량, 외상으로 인한 마비는 6개월에서 2년 정도 걸린다. 부분적으로 회복될 경우 동안신경 협동 운동을 동반할 수 있다. 외상으로 두개 골절을 동반한 동안신경 마비 환자에서 발생하는 동안신경 협동 운동은 외상 후 9주경에 관찰할 수 있다. 안와 내에서 발생한 동안신경 마비는 대개 예후가 좋으며 동안신경 협동 운동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 ||
{{참고|신경안과}} | {{참고|신경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