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세부 인정기준 및 방법)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기능 == | == 기능 == | ||
[[건성안]] 환자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결막 내 IL-6 수치 등) 과 결막 내 활성화된 림프구, 염증성 apototic marker를 감소시키고, 결막의 술잔 세포 수를 증가시킨다. 시클로스포린은 여러 임상 연구에서 다른 전신적, 국소적 부작용 없이 건성안의 증상과 징후를 호전시켰다. Perry 등에 따르면 경도의 건성안에서 증상 호전이 가장 컸으며, 심한 건성안에서 징후가 가장 크게 호전되었다. | [[건성안]] 환자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결막 내 IL-6 수치 등) 과 결막 내 활성화된 림프구, 염증성 apototic marker를 감소시키고, 결막의 술잔 세포 수를 증가시킨다. 시클로스포린은 여러 임상 연구에서 다른 전신적, 국소적 부작용 없이 건성안의 증상과 징후를 호전시켰다. Perry 등에 따르면 경도의 건성안에서 증상 호전이 가장 컸으며, 심한 건성안에서 징후가 가장 크게 호전되었다. | ||
== 세부 | == 세부 인정 기준 및 방법 == | ||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중등도 (moderate) 이상의 건조 각결막염' 에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 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 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중등도 (moderate) 이상의 건조 각결막염' 에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 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 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
* 건성안으로 인하여 병적인 변화가 나타난 경우 (예, 표층 각막염 등) | * 건성안으로 인하여 병적인 변화가 나타난 경우 (예, 표층 각막염 등) | ||
* 눈물막 파괴 시간(Tear break up time) 검사결과 6초 이하인 경우 | * 눈물막 파괴 시간(Tear break up time) 검사결과 6초 이하인 경우 | ||
* 쉬르머검사(Shirmer test)결과 정상 수치보다 30% 이상 감소한 경우 | * 쉬르머검사(Shirmer test)결과 정상 수치보다 30% 이상 감소한 경우 | ||
== 종류 == | == 종류 ==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