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눈감기근 절제술 (eyelid protractor myectomy) 은 본태 눈꺼풀 연축을 일으키는 눈감기근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 분류 == 보툴리눔 독소 주사...)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눈감기근 절제술 (eyelid protractor myectomy) 은 [[본태 눈꺼풀 연축]]을 일으키는 눈감기근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 <b>눈감기근 절제술 (eyelid protractor myectomy)</b> 은 [[본태 눈꺼풀 연축]]을 일으키는 눈감기근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 ||
== 분류 == | == 분류 == | ||
보툴리눔 독소 주사 2주 후 눈둘레근의 힘을 측정하여 약해졌으면 제한 근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으며, 힘이 약해지지 않았으면 확대 근절제술이 더 효과적이다. | 보툴리눔 독소 주사 2주 후 눈둘레근의 힘을 측정하여 약해졌으면 제한 근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으며, 힘이 약해지지 않았으면 확대 근절제술이 더 효과적이다.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고르지 않은 눈꺼풀 피부 : 피하 조직의 흉 형성 및 림프 부종이 지속됨으로 인해 피부 표면이 고르지 않게 될 수 있다. 림프 부종은 빠지는데 1년 이상 소요되기도 한다. | * 고르지 않은 눈꺼풀 피부 : 피하 조직의 흉 형성 및 림프 부종이 지속됨으로 인해 피부 표면이 고르지 않게 될 수 있다. 림프 부종은 빠지는데 1년 이상 소요되기도 한다. | ||
* 연축의 재발 : 절제된 눈둘레근은 재생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눈꺼풀 연축은 재발될 수 있다. 약 75%에서 증상이 재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 때에는 보툴리눔 독소 주사를 다시 고려해야 하는데 피하 조직의 흉으로 인해 독소의 확산이 잘 되지 않으며 주사 때 통증이 더 심하므로 좀 더 천천히 주입하여야 한다. 눈꺼풀 수술 후 보툴리눔 독소 주사 치료의 효과 지속 기간이 더 길어졌다는 보고도 있다. | * 연축의 재발 : 절제된 눈둘레근은 재생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눈꺼풀 연축은 재발될 수 있다. 약 75%에서 증상이 재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 때에는 보툴리눔 독소 주사를 다시 고려해야 하는데 피하 조직의 흉으로 인해 독소의 확산이 잘 되지 않으며 주사 때 통증이 더 심하므로 좀 더 천천히 주입하여야 한다. 눈꺼풀 수술 후 보툴리눔 독소 주사 치료의 효과 지속 기간이 더 길어졌다는 보고도 있다. | ||
{{참고|성형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