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 투과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1,484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월 15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 폴리스티렌 (polystyrene) : 80년대에 도입된 이 렌즈 재질은 비중이 낮아 가볍지만 강한 특성을 갖고 있어 렌즈 굴곡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주변부는 소프트 렌즈 재질 이며  중심부는 RGP 렌즈 재질로 이루어진 시바비전 사의 Soft Perm 렌즈는 중심부 RGP 렌즈의 재질로 폴리스티렌을 사용한다. 이 렌즈는 초기 착용감이 좋고, 난시 교정 효과 및 렌즈 정럴이 좋아 원추 각막, 각막 외상 등으로 인해 부정 난시가 있는 경우에 좋지만 가격이 비싸고, 중심 RGP 렌즈와 주변 소프트렌즈 경계 부위가 잘 찢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 폴리스티렌 (polystyrene) : 80년대에 도입된 이 렌즈 재질은 비중이 낮아 가볍지만 강한 특성을 갖고 있어 렌즈 굴곡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주변부는 소프트 렌즈 재질 이며  중심부는 RGP 렌즈 재질로 이루어진 시바비전 사의 Soft Perm 렌즈는 중심부 RGP 렌즈의 재질로 폴리스티렌을 사용한다. 이 렌즈는 초기 착용감이 좋고, 난시 교정 효과 및 렌즈 정럴이 좋아 원추 각막, 각막 외상 등으로 인해 부정 난시가 있는 경우에 좋지만 가격이 비싸고, 중심 RGP 렌즈와 주변 소프트렌즈 경계 부위가 잘 찢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 silicone elastomer : 바슈롬 사의 Silsoft 렌즈에 사용된 재질로 산소 투과성이 340이나 되지만 소수성이 커 건조감이 심하고, 점액질이 잘 달라붙으며, 각막에 렌즈가 붙어버리는 경우가 흔하여 소아 무수정체안에 드물게 사용될 수는 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silicone elastomer : 바슈롬 사의 Silsoft 렌즈에 사용된 재질로 산소 투과성이 340이나 되지만 소수성이 커 건조감이 심하고, 점액질이 잘 달라붙으며, 각막에 렌즈가 붙어버리는 경우가 흔하여 소아 무수정체안에 드물게 사용될 수는 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착용 및 제거 ==
=== 환자 자신이 착용 ===
# 오른손잡이인 경우, 오른손 검지 손가락 위에 렌즈의 오목한 면을 위로 향하게 놓는다.
# 거울을 보면서 자주 쓰는 중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눈의 아래눈꺼풀을 내리고 다른 손의 검지로 윗눈꺼풀을 위로 당겨 눈을 크게 벌린다.
# 렌즈를 검은 눈동자 위에 놓은 후 렌즈에서 천천히 검지 손가락을 뗀다.
# 왼쪽 렌즈도 오른쪽 렌즈와 같은 방법으로 렌즈를 눈동자에 대고 천천히 손가락을 뗀 후에는 눈을 급히 깜빡이지 말고 천천히 감도록 한다.
=== 타인이 착용 ===
어린이 혹은 고령이거나 장애가 있어 렌즈 착용과 제거가 어려운 경우는 보호자가 대신하여 렌즈 착용과 제거를 해줄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착용 방법은 환자 자신이 할 때와 비슷하지만 먼저 환자 머리를 고정하고 먼 곳의 한 지점을 보게 한 후, 환자의 정면이 아닌 옆에서 접근하는 것이 환자의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오른쪽 렌즈를 끼울 때는 보호자의 오른쪽 검지 위에 렌즈를 올려 놓고 보호자의 왼손 중지나 검지로 환자의 오른쪽 상안검을, 보호자의 오른손 중지로 환자의 오른쪽 하안검을 당기고 시술자의 검지에 놓여 있는 렌즈를 각막에 살짝 올려 놓는다. 왼쪽 렌즈도 같은 방법으로 한다.
{{참고|콘택트렌즈}}
{{참고|콘택트렌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