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기초 디자인과 세부 명칭)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가장자리 | ** 가장자리 | ||
* 블렌드 | * 블렌드 | ||
* 중심 두께 | * 중심 두께 : 렌즈 중심 부분의 두께를 지칭하며 콘택트렌즈의 도수, 직경, 재질, 각막의 상태 등에 의해 결정된다. 렌즈가 너무 얇아지면 깨지기도 쉽고 각막 난시가 있는 경우 휘어지기도 쉬워 잔여 난시를 유발할 수도 있다. 낮은 도수의 근시 렌즈에서 휘어짐이 나타나기 쉬우며, Dk가 높은 재질일수록 휘어짐이 심해지므로 이런 두 가지 경우에는 렌즈의 중심 두께를 좀 더 두껍게 제작해야 하며 재질이 약하거나, 각막 난시가 많을 때에도 렌즈의 중심 두께를 두껍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Dk가 높은 재질은 낮은 재질보다 렌즈 중심 두께가 조금 더 두껍게 제작된다. Dk가 60 이상의 재질의 경우 -3D 의 중심 두께는 0.15~0.16mm 정도이며 도수가 높을수록 중심 두께는 얇아지며 최소한 0.1mm 는 유지되어야 한다. 중심 두께는 제작 회사에 따라, 렌즈의 디자인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며, 렌즈 처방에도 영향을 미친다. | ||
* 착색 : 색깔이 없는 렌즈보다 잘 보이게 하여 렌즈를 다루기 쉽도록 하기 위해 빛의 투과에 영향을 가장 적게 미치는 연한 하늘색이 많이 사용되었다. 렌즈의 색깔은 렌즈의 재료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착색이 가능하며, 요즘은 좌우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녹색, 보라 등을 착색하여 사용된다. | * 착색 : 색깔이 없는 렌즈보다 잘 보이게 하여 렌즈를 다루기 쉽도록 하기 위해 빛의 투과에 영향을 가장 적게 미치는 연한 하늘색이 많이 사용되었다. 렌즈의 색깔은 렌즈의 재료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착색이 가능하며, 요즘은 좌우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녹색, 보라 등을 착색하여 사용된다. | ||
== 재질 == | == 재질 == | ||
* Silicone/Acrylate (S/A) = Siloxan/Methacrylate : 최초로 성공적인 장착이 가능했던 RGP 렌즈 재질로 70 년대 말에 도입 되었는데 산소투과성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과 메타크릴레이트, 습윤제, 교차 결합제가 주요 구성 성분이다. | * Silicone/Acrylate (S/A) = Siloxan/Methacrylate : 최초로 성공적인 장착이 가능했던 RGP 렌즈 재질로 70 년대 말에 도입 되었는데 산소투과성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과 메타크릴레이트, 습윤제, 교차 결합제가 주요 구성 성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