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결막 이완증 (conjunctivochalasis) 은 "이완되고 부종이 없는 여분의 안구 결막이 안구와 아랫눈꺼풀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말한다. 1908년 Elsc...)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결막 이완증 (conjunctivochalasis) 은 | '''결막 이완증 (conjunctivochalasis)''' 은 이완되고 부종이 없는 여분의 안구 결막이 안구와 아랫눈꺼풀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말한다. 1908년 Elschnig가 처음 기술하였으며, 1942년 Hughes가 결막 이완증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 ||
== 역학 == | == 역학 == | ||
주로 <span style='color:blue;'>노인</span>에서 발견되고, 나이가 많아질수록 흔히 관찰되지만 젊은 나이에 보고된 경우도 있다. | 주로 <span style='color:blue;'>노인</span>에서 발견되고, 나이가 많아질수록 흔히 관찰되지만 젊은 나이에 보고된 경우도 있다.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1942년 Hughes 등이 처음 수술 방법을 소개한 후 여러 방법이 소개되었다. 이완된 결막을 윤부로부터 5mm 떨어진 부위에서 초승달 모양으로 절제한 후 봉합 없이 두거나 봉합하는 방법, 초승달 모양으로 절제한 후 양막을 이식하는 방법, 양막 이식 대신 조직 접합제를 사용하는 방법, 2개의 방사상 절개를 한 후 이완된 결막을 윤부 쪽으로 당겨 절제하는 방법, 절제 없이 이완된 결막을 아래쪽으로 밀어서 윤부 쪽을 편평하게 한 후 윤부에서 6mm 떨어진 지점에서 6-0 vicryl로 결막과 테논낭을 공막에 고정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Choi 등은 이완된 결막을 두극성 지짐기로 소작하는 방법으로 좋은 치료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했다. 각 저자들은 수술 후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했지만, 반흔성 속말림, 아래결막낭 위축, 안구운동 제한, 반흔 형성, 봉합사에 의한 육아종, 양막 주위 결막염증 등과 같은 합병증도 보고되었다. | 1942년 Hughes 등이 처음 수술 방법을 소개한 후 여러 방법이 소개되었다. 이완된 결막을 윤부로부터 5mm 떨어진 부위에서 초승달 모양으로 절제한 후 봉합 없이 두거나 봉합하는 방법, 초승달 모양으로 절제한 후 양막을 이식하는 방법, 양막 이식 대신 조직 접합제를 사용하는 방법, 2개의 방사상 절개를 한 후 이완된 결막을 윤부 쪽으로 당겨 절제하는 방법, 절제 없이 이완된 결막을 아래쪽으로 밀어서 윤부 쪽을 편평하게 한 후 윤부에서 6mm 떨어진 지점에서 6-0 vicryl로 결막과 테논낭을 공막에 고정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Choi 등은 이완된 결막을 두극성 지짐기로 소작하는 방법으로 좋은 치료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했다. 각 저자들은 수술 후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했지만, 반흔성 속말림, 아래결막낭 위축, 안구운동 제한, 반흔 형성, 봉합사에 의한 육아종, 양막 주위 결막염증 등과 같은 합병증도 보고되었다. | ||
{{참고|각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