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적응증 및 장점)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Leonard Seidner 와 Joe Seidner 는 HEMA (hydroxyethylmethacrylate) 라고 불리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소재로 렌즈를 생산하고 있었는데, 그들은 이 재료에 불만이 있어서 Norman G. Gaylord 와 함께 친수성이 없으면서 산소 투과성이 높은 재질을 생산하였으며, 이들은 1972년 6월 PMMA와 실리콘, PMMA와 flllorocarbon 의 복합체로 연구하던 중에 산소 투과성 재질인 SGP-1을 개발하여서 산소 투과 하드 콘택트렌즈 (RGP lens) 를 개발하였다. 1985년도에 는 FDA로부터 승인을 얻었다. 1973년 3월 Rynco는 cellulose acetate blltyrate (CAB)를 생산하여 하드 콘택트렌즈를 만들였다.<br /> 1980년대에도 많은 RGP 렌즈가 생산되었으며, 오늘날 가장 대표적인 것은 S/A 와 FS/A 이다. | Leonard Seidner 와 Joe Seidner 는 HEMA (hydroxyethylmethacrylate) 라고 불리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소재로 렌즈를 생산하고 있었는데, 그들은 이 재료에 불만이 있어서 Norman G. Gaylord 와 함께 친수성이 없으면서 산소 투과성이 높은 재질을 생산하였으며, 이들은 1972년 6월 PMMA와 실리콘, PMMA와 flllorocarbon 의 복합체로 연구하던 중에 산소 투과성 재질인 SGP-1을 개발하여서 산소 투과 하드 콘택트렌즈 (RGP lens) 를 개발하였다. 1985년도에 는 FDA로부터 승인을 얻었다. 1973년 3월 Rynco는 cellulose acetate blltyrate (CAB)를 생산하여 하드 콘택트렌즈를 만들였다.<br /> 1980년대에도 많은 RGP 렌즈가 생산되었으며, 오늘날 가장 대표적인 것은 S/A 와 FS/A 이다. | ||
== 적응증 및 장점 == | == 적응증 및 장점 == | ||
* 불규칙 난시를 가지는 환자나 [[SCL|소프트 콘택트렌즈]] | |||
== 금기 및 단점 == | == 금기 및 단점 == | ||
== 기초 디자인과 세부 명칭 == | == 기초 디자인과 세부 명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