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적응증 및 장점) |
잔글 (→적응증 및 장점)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Leonard Seidner 와 Joe Seidner 는 HEMA (hydroxyethylmethacrylate) 라고 불리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소재로 렌즈를 생산하고 있었는데, 그들은 이 재료에 불만이 있어서 Norman G. Gaylord 와 함께 친수성이 없으면서 산소 투과성이 높은 재질을 생산하였으며, 이들은 1972년 6월 PMMA와 실리콘, PMMA와 flllorocarbon 의 복합체로 연구하던 중에 산소 투과성 재질인 SGP-1을 개발하여서 산소 투과 하드 콘택트렌즈 (RGP lens) 를 개발하였다. 1985년도에 는 FDA로부터 승인을 얻었다. 1973년 3월 Rynco는 cellulose acetate blltyrate (CAB)를 생산하여 하드 콘택트렌즈를 만들였다.<br /> 1980년대에도 많은 RGP 렌즈가 생산되었으며, 오늘날 가장 대표적인 것은 S/A 와 FS/A 이다. | Leonard Seidner 와 Joe Seidner 는 HEMA (hydroxyethylmethacrylate) 라고 불리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소재로 렌즈를 생산하고 있었는데, 그들은 이 재료에 불만이 있어서 Norman G. Gaylord 와 함께 친수성이 없으면서 산소 투과성이 높은 재질을 생산하였으며, 이들은 1972년 6월 PMMA와 실리콘, PMMA와 flllorocarbon 의 복합체로 연구하던 중에 산소 투과성 재질인 SGP-1을 개발하여서 산소 투과 하드 콘택트렌즈 (RGP lens) 를 개발하였다. 1985년도에 는 FDA로부터 승인을 얻었다. 1973년 3월 Rynco는 cellulose acetate blltyrate (CAB)를 생산하여 하드 콘택트렌즈를 만들였다.<br /> 1980년대에도 많은 RGP 렌즈가 생산되었으며, 오늘날 가장 대표적인 것은 S/A 와 FS/A 이다. | ||
== 적응증 및 장점 == | == 적응증 및 장점 == | ||
* 불규칙 난시를 가지는 환자나 [[SCL| | * 불규칙 난시를 가지는 환자나 [[소프트 콘택트렌즈|SCL]]를 착용할 때 경도의 난시가 남아 시력 저하를 일으키는 경우 RGP는 후면의 눈물층으로 잔여 난시를 교정할 수 있다. | ||
* SCL의 표면 침착물이나 표면 건조로 인해 시력을 떨어뜨리는 경우에 대체 렌즈로 사용할 수 있다. | |||
* 원추 각막, 외상으로 인한 각막 이상, 각막 이식을 받은 환자들 중 일부에서 적합할 수 있다. | |||
* 위아래 눈꺼풀 간격이 좁은 경우나 소안구증에서 착용이 용이할 수 있다. | |||
* SCL보다 각막을 덮고 있는 면적이 적고, [[산소 투과율|Dk]]가 높고, 렌즈 후면에서 눈물의 흐름이 보다 좋다. | |||
* 각종 렌즈 침착 현상이 덜 나타나며, 렌즈 파손에 보다 안전하며, 사용 기간이 길어 경제적이다. | |||
* 스테로이드 안약이나 녹내장 안약 등을 오래 사용해야 하는 경우 SCL에 흡수되거나 침착되기 쉬우므로 RGP로 재처방하여야 한다. | |||
* 미용사나 화학 물질을 다루는 직업군에서는, 일하는 환경에 따라 작업장의 공기 오염 물질이 SCL에 침착되기 쉬우므로 RGP가 도움이 될 수 있다. | |||
== 금기 및 단점 == | == 금기 및 단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