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어린이 혹은 고령이거나 장애가 있어 렌즈 착용과 제거가 어려운 경우는 보호자가 대신하여 렌즈 착용과 제거를 해줄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착용 방법은 환자 자신이 할 때와 비슷하지만 먼저 환자 머리를 고정하고 먼 곳의 한 지점을 보게 한 후, 환자의 정면이 아닌 옆에서 접근하는 것이 환자의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오른쪽 렌즈를 끼울 때는 보호자의 오른쪽 검지 위에 렌즈를 올려 놓고 보호자의 왼손 중지나 검지로 환자의 오른쪽 상안검을, 보호자의 오른손 중지로 환자의 오른쪽 하안검을 당기고 시술자의 검지에 놓여 있는 렌즈를 각막에 살짝 올려 놓는다. 왼쪽 렌즈도 같은 방법으로 한다. | 어린이 혹은 고령이거나 장애가 있어 렌즈 착용과 제거가 어려운 경우는 보호자가 대신하여 렌즈 착용과 제거를 해줄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착용 방법은 환자 자신이 할 때와 비슷하지만 먼저 환자 머리를 고정하고 먼 곳의 한 지점을 보게 한 후, 환자의 정면이 아닌 옆에서 접근하는 것이 환자의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오른쪽 렌즈를 끼울 때는 보호자의 오른쪽 검지 위에 렌즈를 올려 놓고 보호자의 왼손 중지나 검지로 환자의 오른쪽 상안검을, 보호자의 오른손 중지로 환자의 오른쪽 하안검을 당기고 시술자의 검지에 놓여 있는 렌즈를 각막에 살짝 올려 놓는다. 왼쪽 렌즈도 같은 방법으로 한다. | ||
== 이상적인 피팅을 위해 검사해야 할 사항 == | == 이상적인 피팅을 위해 검사해야 할 사항 == | ||
=== 렌즈의 위치 === | |||
렌즈를 끼웠을 때 렌즈의 이상적인 위치란 가장 착용감이 좋으며, 적당한 움직임, 시력 교정이 잘 되고, 오래 끼고 있어도 각막의 뒤틀림이 최소가 되는 위치를 말한다. 모든 렌즈가 이런 위치에 올 수 있는 것은 아니나 처방할 눈에 가장 이상적인 위치에 렌즈가 있도록 처방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br}}렌즈를 끼웠을 때 렌즈의 끝이 상안검 아래에 위치하게 하는 경우가 제일 이물감이 적다고 한다. 그러나 너무 많이 올라가면 렌즈 움직임이 좋지 않고 렌즈가 각막 윗부분을 눌러 각막이 비정상적으로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렌즈가 안검열 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광학부와 동공이 일치하게 되어 시력이 잘 나오며, 야간 눈부심이나 비정상적인 각막 뒤틀림이 없지만 렌즈의 끝이 상하 안검을 계속적으로 자극을 주어 착용감이 불편할 수 있다. | |||
{{참고|콘택트렌즈}} | {{참고|콘택트렌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