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각막 난시) |
잔글 (→렌즈의 크기 결정) |
||
55번째 줄: | 55번째 줄: | ||
==== 각막 난시 ==== | ==== 각막 난시 ==== | ||
각막 난시가 심하면 렌즈 크기를 작게 하면서 좀 가파르게 처방한다. | 각막 난시가 심하면 렌즈 크기를 작게 하면서 좀 가파르게 처방한다. | ||
==== 각막 비구면도 ==== | |||
각막의 비구면도가 크면 주변으로 갈수록 더 편평해지므로 렌즈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좋다. | |||
==== 안검열 크기 ==== | |||
안검 사이의 수직 거리를 말하며 평균 9~10mm 이다. 이 거리가 크면 TD가 큰 렌즈를, 거리가 작으면 TD가 작은 렌즈를 선택한다. 이 경우에도 각막의 크기와 K값의 관계를 고려하여 렌즈의 BOZD 및 TD를 결정해야 한다. | |||
==== 동공의 크기 ==== | |||
야간에 동공이 커지므로 야간에 발생하는 눈부심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동공 크기를 재어 그 크기보다 BOZD가 큰 렌즈를 사용한다. 동공이 큰 경우라도 렌즈가 중심에 위치할 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중심에서 약간 벗어난 처방일 때는 렌즈의 주변부가 동공을 가리는 수가 있으니 이 때는 광학부가 중심을 덮도록 충분히 크게 처방해야 한다. | |||
==== 안검력 ==== | |||
느슨한 안검의 경우에는 TD를 크게 하는 것이 원칙이며, 팽팽한 안검의 경우 TD가 작은 렌즈를 처방하는 것이 원칙이나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해서 시험 착용을 해본 후 결정해야 한다. | |||
==== 렌즈의 도수 ==== | |||
고도 근시의 경우 안축장이 길고, 렌즈의 끝이 두꺼워 렌즈가 위로 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렌즈의 크기를 줄이면 무게 중심이 앞으로 이동하여 렌즈가 좀 내려올 수 있다. | |||
{{참고|콘택트렌즈}} | {{참고|콘택트렌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