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 크립톤 레이저
* 크립톤 레이저
* semiconductor diode laser
* semiconductor diode laser
== 접촉성 다이오드 (diode) 레이저 ===
== 접촉성 다이오드 (diode) 레이저 ==
다이오드 레이저는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반도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은 gallium-aluminum-arsenide (Ga-Al-As) 로 구성된 반도체로 780~850 nm 의 파장을 갖는다. 이 구성 성분을 약간 변화시킴으로써 파장을 바꿀 수 있는데 800 nm 에서 각막, 방수, 수정체나 유리체에 대한 투과성이 가장 좋고 혈색소에 적게 흡수되며 황반 엽황소 (xanthophyll) 에는 거의 흡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Nd:YAG 레이저에 비해 색소상피에 대한 흡수율이 더 높으며 공막에 대한 투과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공막을 통한 섬모체 광응고에 더 적합하다고 한다.
다이오드 레이저는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반도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은 gallium-aluminum-arsenide (Ga-Al-As) 로 구성된 반도체로 780~850 nm 의 파장을 갖는다. 이 구성 성분을 약간 변화시킴으로써 파장을 바꿀 수 있는데 800 nm 에서 각막, 방수, 수정체나 유리체에 대한 투과성이 가장 좋고 혈색소에 적게 흡수되며 황반 엽황소 (xanthophyll) 에는 거의 흡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Nd:YAG 레이저에 비해 색소상피에 대한 흡수율이 더 높으며 공막에 대한 투과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공막을 통한 섬모체 광응고에 더 적합하다고 한다.


다이오드 레이저가 섬모체 광응고에 처음 이용된 것은 1990년으로 Okamoto 등이 유색가토에서 500 mW, 0.5초 로 TSCPC 를 하여 안압이 하강된 것을 보고하였고 Schuman 등도 가토에서 1.8 J 이상으로 조사했을 때 섬모체 조직의 파괴와 안압 하강을 관찰하였다. 조절되지 않는 녹내장에서 다이오드 레이저로 비접촉성 TSCPC 를 12 mW, 100 ㎛, 0.99초 로 각막 윤부 주위에 45회 조사함으로써 술 전 평균 안압 34.8 mmHg 에서 술 후 24 mmHg 로 하강시켰다고 한다. Nd:YAG 레이저와 다이오드 레이저 중 안압 하강 효과에 있어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지는 아직 확실치 않으나 안압 하강 효과는 비슷하며 다이오드 레이저가 가격이 싸고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술 후 심한 합병증이 없고 더 적은 에너지를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다이오드 레이저가 섬모체 광응고에 처음 이용된 것은 1990년으로 Okamoto 등이 유색가토에서 500 mW, 0.5초 로 TSCPC 를 하여 안압이 하강된 것을 보고하였고 Schuman 등도 가토에서 1.8 J 이상으로 조사했을 때 섬모체 조직의 파괴와 안압 하강을 관찰하였다. 조절되지 않는 녹내장에서 다이오드 레이저로 비접촉성 TSCPC 를 12 mW, 100 ㎛, 0.99초 로 각막 윤부 주위에 45회 조사함으로써 술 전 평균 안압 34.8 mmHg 에서 술 후 24 mmHg 로 하강시켰다고 한다. Nd:YAG 레이저와 다이오드 레이저 중 안압 하강 효과에 있어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지는 아직 확실치 않으나 안압 하강 효과는 비슷하며 다이오드 레이저가 가격이 싸고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술 후 심한 합병증이 없고 더 적은 에너지를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