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 코눈물관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1,024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5월 27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선천 코눈물관 폐쇄'''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CNLDO){{성형안과}} == 역학 == 신생아 및 영아에서 5~20% 유병률을 가지는 흔한 질환...)
 
잔글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 증상 ==
== 증상 ==
가장 흔한 증상은 단안 또는 양안에 지속되는 눈물 흘림, 점액성 분비물이며, 이차적으로 눈꺼풀의 진무름
가장 흔한 증상은 단안 또는 양안에 지속되는 눈물 흘림, 점액성 분비물이며, 이차적으로 눈꺼풀의 진무름
== 예후 및 치료 ==
80% 정도에서 눈물 흘림 증상이 생후 1년 전후 시기에 치료 없이 자연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기 치료로는 눈물주머니 마사지 및 국소 항생제 점안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환아에서
* 코눈물관 탐침술 : 1세 이하에서 매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보고되며, 나이가 상대적으로 많은 환아에서의 코눈물관 탐침술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지만, 몇몇 연구에서는 탐침술이 1세 이상의 나이 많은 환아에서도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첫 번째 코눈물관 탐침술에 효과가 없는 경우 재시술의 성공률은 11.1~100% 까지 다양하게 보고되었다.
* 실리콘관 삽입술
* 풍선관 코눈물관 확장술
*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등의 침습적 시술을 단계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