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 차단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9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5월 28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분류)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심혈관계 질환에 베타 차단제 (beta blocker; BB) 를 사용한 이후 점안용 베타 차단제가 안압 하강을 목적으로 녹내장 치료제로 개발되었다. 처음으로 상용한 베타 차단제는 프로프라노롤 (propranolol) 로서 심부정맥, 협심증, 고혈압의 치료제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안압 하강 효과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는 각막 마취, 안구 건조, 결막하 반흔, 각막 궤양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이었으나 이러한 부작용을 줄인 여러 베타 차단제들이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알파 길항제도 개발되었으나 안압 하강 효고가 미약하여 녹내장의 장기 치료제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심혈관계 질환에 '''베타 차단제 (beta blocker; BB)'''{{녹내장}} 를 사용한 이후 점안용 베타 차단제가 안압 하강을 목적으로 녹내장 치료제로 개발되었다. 처음으로 상용한 베타 차단제는 프로프라노롤 (propranolol) 로서 심부정맥, 협심증, 고혈압의 치료제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안압 하강 효과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는 각막 마취, 안구 건조, 결막하 반흔, 각막 궤양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이었으나 이러한 부작용을 줄인 여러 베타 차단제들이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알파 길항제도 개발되었으나 안압 하강 효고가 미약하여 녹내장의 장기 치료제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 작용 기전 ==
== 작용 기전 ==
<font style=//color:red;//"">방수 생성을 억제</font>하여 안압을 낮춘다. 베타 수용체 중 β<sub>2</sub> 아형이 섬모체 돌기에  주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 졌으며 timolol은 catecholamine에 의한 고리형 아데노신 1인산 (cyclic adenosine monophsphate)의 합성을 억제하여 방수생성을 감소시킨다.
<font style=//color:red;//"">방수 생성을 억제</font>하여 안압을 낮춘다. 베타 수용체 중 β<sub>2</sub> 아형이 섬모체 돌기에  주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 졌으며 timolol은 catecholamine에 의한 고리형 아데노신 1인산 (cyclic adenosine monophsphate)의 합성을 억제하여 방수생성을 감소시킨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 [[카테올롤]] (carteolol)
* [[카테올롤]] (carteolol)
* [[메티프라놀롤]] (metipranolol)
* [[메티프라놀롤]] (metipranolol)
== 부작용 및 합병증 ==
== 부작용 및 합병증 ==
* 안구 내 부작용
* 안구 내 부작용
24번째 줄: 23번째 줄:
:- 콜레스테롤 : 경구용 베타 차단제는 혈장 지질의 변화를 유발한다. timolol을 사용한 경우 고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이 감소되어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 콜레스테롤 : 경구용 베타 차단제는 혈장 지질의 변화를 유발한다. timolol을 사용한 경우 고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이 감소되어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 기타 : 소화기 질환이나 피부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중증 근무력증을 악화시킬 수 있고 당뇨 환자에서 저혈당에 의한 반응을 변화시켜 발작 증상의 발견이 지연되는 경우도 있다.
:- 기타 : 소화기 질환이나 피부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중증 근무력증을 악화시킬 수 있고 당뇨 환자에서 저혈당에 의한 반응을 변화시켜 발작 증상의 발견이 지연되는 경우도 있다.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