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거미막밑 공간에서의 마비)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후천 동안신경 마비 (acquired oculomotor nerve palsy)'''{{신경안과}} | |||
== 핵 병변 == | == 핵 병변 == | ||
양안의 눈꺼풀 처짐과 완전 동안신경 마비, 양안 내직근 마비, 윗눈꺼풀 올림근과 상직근 이외의 단일 외안근 침범 등의 양상이 나타날 때는 핵 병변이라고 할 수 있다. 한쪽의 동안신경 마비를 동반한 반대쪽의 상직근 마비 및 양쪽의 부분적 눈꺼풀 처짐이 있는 경우와, 양쪽 윗눈꺼풀 올림근은 정상이고 양쪽의 동안신경 마비가 생긴 경우에는 핵 병변을 생각할 수 있다. 양쪽 동공이 침범되었을 때는 등쪽, 입쪽 중뇌의 양측 병변으로 핵하와 핵상 주시마비도 동반될 수 있다. 핵 병변은 허혈(경색, 혈전), 뇌간 압박, 종양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br />동안신경 핵복합체 부근의 전운동 중뇌 병변은 핵의 병변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전정 자극 또는 벨 현상 검사에서 눈운동이 좋아지는 것으로 감별할 수 있다. 피셔 증후군이 있으면 안근 마비가 오는데 핵하, 핵 또는 핵상의 구조물이 침범될 때도 있다. | 양안의 눈꺼풀 처짐과 완전 동안신경 마비, 양안 내직근 마비, 윗눈꺼풀 올림근과 상직근 이외의 단일 외안근 침범 등의 양상이 나타날 때는 핵 병변이라고 할 수 있다. 한쪽의 동안신경 마비를 동반한 반대쪽의 상직근 마비 및 양쪽의 부분적 눈꺼풀 처짐이 있는 경우와, 양쪽 윗눈꺼풀 올림근은 정상이고 양쪽의 동안신경 마비가 생긴 경우에는 핵 병변을 생각할 수 있다. 양쪽 동공이 침범되었을 때는 등쪽, 입쪽 중뇌의 양측 병변으로 핵하와 핵상 주시마비도 동반될 수 있다. 핵 병변은 허혈(경색, 혈전), 뇌간 압박, 종양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br />동안신경 핵복합체 부근의 전운동 중뇌 병변은 핵의 병변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전정 자극 또는 벨 현상 검사에서 눈운동이 좋아지는 것으로 감별할 수 있다. 피셔 증후군이 있으면 안근 마비가 오는데 핵하, 핵 또는 핵상의 구조물이 침범될 때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