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증상)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매우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ref>Mitchell P, Wang MY, Wang JJ. Asteroid hyalosis in an older population: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ic Epidemiol''. 2003 Dec;10(5):331-5. [https://pubmed.ncbi.nlm.nih.gov/14566634/ 연결]</ref>. 그 이유는 성상체의 표면이 매우 매끄러워 빛의 산란을 적게 유발하고, 유리체강내의 성상체가 주로 앞쪽의 유리체겔 내에 존재하여 황반에 도달하는 빛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이다<ref>Khoshnevis M et al. Asteroid hyalosis : a comprehensive review. ''Surv Ophthalmol''. 2019 Jul-Aug;64(4):452-462. [https://pubmed.ncbi.nlm.nih.gov/30707924/ 연결]</ref>. | 매우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ref>Mitchell P, Wang MY, Wang JJ. Asteroid hyalosis in an older population: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ic Epidemiol''. 2003 Dec;10(5):331-5. [https://pubmed.ncbi.nlm.nih.gov/14566634/ 연결]</ref>. 그 이유는 성상체의 표면이 매우 매끄러워 빛의 산란을 적게 유발하고, 유리체강내의 성상체가 주로 앞쪽의 유리체겔 내에 존재하여 황반에 도달하는 빛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이다<ref>Khoshnevis M et al. Asteroid hyalosis : a comprehensive review. ''Surv Ophthalmol''. 2019 Jul-Aug;64(4):452-462. [https://pubmed.ncbi.nlm.nih.gov/30707924/ 연결]</ref>. | ||
일반적으로 성상 유리체증이 있는 경우 [[후유리체 박리]]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수정체 유화술과 같은 백내장 수술이 급성 후유리체 박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후유리체 박리로 인해 성상체가 앞유리체에 농축되어 시축 주변에 성상체 농도를 높아지게 할 수 있고, 성상체가 시축으로 몰려드는 경우 시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성상 유리체증이 있는 경우 [[후유리체 박리]]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ref>Mochizuki Y et al. Anatomical findings of V-R interface in eyes with asteroid hyalosi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Sep;247(9):1173-7. [https://pubmed.ncbi.nlm.nih.gov/19421766/ 연결]</ref>. 그러나 수정체 유화술과 같은 백내장 수술이 급성 후유리체 박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후유리체 박리로 인해 성상체가 앞유리체에 농축되어 시축 주변에 성상체 농도를 높아지게 할 수 있고, 성상체가 시축으로 몰려드는 경우 시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 ||
== 치료 == | == 치료 == | ||
[[유리체 절제술]]이 필요한 경우는 드물다. | [[유리체 절제술]]이 필요한 경우는 드물다. | ||
{{참고}} | {{참고}} |